북한이 2008년 로켓탄 기폭장치를 이란에 수출하려고 했다가 실패한 적이 있다고 아사히신문이 16일 유엔보고서를 인용해 보도했다. 이 보고서는 대북 제재 이행 상황을 감시하는 전문가 그룹이 최근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북한 제재 관련 위원회에 제출한 것이다.
보고서에 따르면 북한은 지난 2008년 남포항에서 출발한 화물선 컨테이너 2대에 로켓탄 기폭장치를 적재했고, 중국 다롄(大連)에서 다른 화물선에 옮겨실었다. 이 배는 이란 남부의 항구 도시인 반다르아바스로 향하던 중 2008년 3월 제3국의 검사를 받았는데, ‘발전기 부품’을 담았다는 화물 신고서와 달리 로켓탄 기폭장치가 실려 있다는 사실이 드러나 물품을 압수당했다. 이 3국은 지난해 6월 유엔에 이런 사실을 보고했다. 북한과 이란은 모두 유엔 안보리의 제재 결의에 따라 무기 수출입이 금지돼 있기 때문이다.
보고서는 또 북한이 2006~2010년 대만에 본사가 있는 여러 기업에서 장거리 로켓의 컴퓨터 제어 관련 기기를 수입했으며, 우크라이나에서는 탄도미사일 기술 관련 자료를 입수하려고 했다가 실패했다고 덧붙였다.
유엔 전문가 그룹은 이 사건이 알려짐에 따라 제재 대상에 새롭게 추가할 기관과 개인을 보고서에 명시했다. 북한이 지난 4월에 신설한 내각 부서인 원자력공업총국 등 4개 기관, 개인 11명을 자산동결이나 도항 금지 제재 대상에 추가하라고 권고한 것이다.
유엔 전문가 그룹은 2009년 북한의 1, 2차 핵실험 직후에 채택된 유엔 안보리 결의 1874호에 근거해 설치됐다. 안보리 상임이사국 5개국과 한국, 일본 전문가로 이뤄졌다. 매년 봄 보고서를 작성해 안보리에 제출하는데 2011년까지는 중국의 반대로 공개하지 않다가 지난해부터 공개했다.
한편 북한과 이란은 그동안 ‘미사일 커넥션’으로 불리는 특별한 관계를 유지해왔다. 크리스토퍼 힐 전 미국 국무부 동아태 차관보는 상원 외교관계위원회 청문회(2006년 7월 20일)에서 조지 앨런(공화·버지니아주) 상원의원의 질문에 “이란 관리들이 대포동 2호 미사일 발사 때(2006년 7월 4일) 참관한 것으로 알고 있다”면서 “북한과 이란이 확실히 미사일을 거래해왔다”고 증언했다.
또 러시아 중동연구소의 블라디미르 사진 선임연구원이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북한은 1987년부터 1994년까지 이란에 스커드(Scud)-B 200~300기, 스커드-C 150~200기, 스커드-Cs 100~170기를 수출한 것으로 추정된다. 대신 이란은 북한에 새로운 미사일 개발과 사거리 연장 등 미사일 개량에 필요한 자금을 제공해 왔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