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남북 간 군사적 긴장이 한창 고조되고 있던 중에 ‘신의 방패’라고 불리는 우리 해군의 이지스함 3척 가운데 2척이 고장나 수리를 받고 있었다고 YTN이 15일 보도했다.
YTN에 따르면 전날 끝난 한미 연합해상훈련에 나섰던 우리 해군의 이지스함은 세종대왕함 단 한 척 뿐이었다. 2011년 실전 배치된 우리나라 첫 번째 이지스함인 율곡 이이함과 세 번째 이지스함인 서애 류성룡함은 모두 수리에 들어갔다.
율곡 이이함은 지난 2월 북한의 3차 핵실험에 대비해 해상에서 작전을 수행한 뒤 수리에 들어간 상태다. 1000여개의 적 목표물을 동시에 추적한다는 이지스함의 핵심 기능인 '스파이 원 레이더'의 동력장치 일부가 고장 났기 때문이다.
서애 류성룡함은 적 잠수함을 탐지하는 소나에 이상이 생겨 지난 3월 키 리졸브 훈련을 끝으로 장기간 수리에 들어갔다. 류성룡함은 지난해 부유 물질과의 충돌로 인해 소나가 파손되기도 했다.
이 때문에 지난달 북한 미사일 발사 위기가 지속될 때 류성룡함 대신 세종대왕함이 투입됐지만, 세종대왕함 역시 소나에 문제가 있는 상태로 작전에 참가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전문가들은 북한의 위협이 장기간 이어지면서 이지스함이 지속적으로 작전에 투입돼, 함정의 피로가 누적된 것도 고장의 원인으로 보고 있다.
당초 해군은 한반도 인근 해역을 담당하는 3개 기동 전단(戰團)을 운영하면서 1개 전단에 이지스함 2척, 4500t급 한국형 구축함 4척을 배치한다는 계획이었다. 이지스함 6척, 한국형 구축함 12척 규모다.
그러나 예산 압박에다 천안함 이후 해군의 대양해군 구상에 대한 비판이 이어지면서 당초 계획의 절반인 1.5개 기동전단(이지스함 3척, 한국형 구축함 6척) 수준에서 중단된 상태다. 해군은 계획했던 3개 기동전단 건설 계획에는 변함이 없다는 입장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