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창중 스캔들'과 관련해 주미(駐美) 한국문화원이 은폐와 축소에 가담했다는 의혹을 받고 있는 가운데 대사관·영사관·문화원을 총괄하는 최영진 주미 대사도 책임을 피할 수 없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최 대사는 자기 책임하에 있는 조직이 '국가 망신 스캔들'에 엮이면서 40여년의 공직 생활 마지막에 오점을 남기게 됐다. 최 대사는 노무현 정부에서 외교안보연구원장에 임명된 후, 주요 언론을 적대시하던 노 대통령에게 "코드를 맞췄다"는 이야기를 들으면서 외교부차관, 주 유엔대사 등을 역임했다. 지난해 2월엔 이명박 정부에서 김성환 외교부장관의 추천으로 주미대사에 기용됐다.

13일(현지 시각) 워싱턴의 한 소식통은 "이번 사건에서 대사관 측은 '인턴을 뽑고 관리하는 것은 문화원에서 했다'는 식으로 대사관과 문화원이 별개인 것처럼 말하는데 이는 책임을 회피하려는 변명일 뿐"이라고 했다.

초기 상황 파악과 청와대 보고 과정에 대한 문화원의 말이 수시로 바뀌어 '문화원의 은폐·축소 가담' 의혹이 확산하는 과정에서도 대사관은 나서지 않았다. 한 소식통은 "최 대사가 직접 청와대와 협의해 후속 대응 조치를 마련했으면 지금 같은 혼돈 상황까지는 오지 않았을 것"이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