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와 소통엔 별 문제가 없어요. 고민 있을 때마다 저한테 곧잘 상담하거든요. 주변에 공부 잘하는 자녀 둔 부모 만나면 아이 공부법이나 학원 정보 같은 것 유심히 들었다 얘기해주기도 하죠. 글쎄요, 100점 만점에 90점 정도는 되지 않을까요?"

한준호 기자

고교생 자녀를 둔 부모 중 상당수는 '자녀와 잘 지내느냐'는 질문에 이렇게 답할지도 모르겠다. 하지만 애석하게도 이 같은 부모의 생각은 '혼자만의 착각'일 가능성이 크다. 교육 전문 기업 진학사는 지난 2월 18일부터 3주간 전국 중고생 351명과 학부모 79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했다〈아래 참조〉. 동일한 질문을 놓고 학생과 학부모의 답변을 비교한 결과, 상당 부분이 '동상이몽(同床理夢)'인 걸로 입증됐다. 똑같은 사안을 놓고도 부모와 자녀 간 의견 차가 상당하다는 뜻이다. 이에 대한 '자녀' 측 생각은 어떨까? '말 잘하기로 소문난' 서울 세종고 2학년 토론반원 6명에게서 그 힌트를 구했다.

◇'공부'면 만사형통?… "고민 오히려 쌓여요"

자녀가 부모와의 고민 상담을 꺼리는 이유는 뭘까? 이강준군은 "대부분의 부모님이 자녀의 고민 토로에 '공부'로 일갈하더라"고 꼬집었다. 친구와의 다툼, 미래에 대한 불안, 학교 생활 관련 불만 등 어떤 걸 말해도 결국 돌아오는 건 '공부 잘하면 다 해결된다'는 답변이란 얘기다. 박나연양도 이에 동의했다. "한 번은 엄마에게 '초등학교 교사'가 꿈이라고 얘기했어요. 엄마가 좋아하시면서 그러시더라고요. '초등학교 교사 되려면 공부 열심히 해야 하는 것 알지?'"(웃음) 손성은양은 "부모님과 고민 상담을 할 때 필요한 조언을 들을 수 있으리란 기대는 적은 반면, 불리한 내 패만 보여주는 느낌이 든다"며 "부모님이 자기 말 때문에 이것저것 신경 쓰실까 봐 속 깊은 얘긴 좀처럼 안 꺼내는 애들이 많다"고 말했다.

◇꿈이 없다?… "꿈 찾을 기회 먼저 줘보세요"

박준영군은 "우린 꿈이 없는 게 아니라 '꿈 찾을 기회'가 없는 것"이라고 잘라 말했다. "'희망 없는 10대' 같은 제목의 기사를 볼 때마다 한숨이 나와요. 수학 문제를 많이 풀면, 영어 독해를 잘하면 꿈이 보일까요? 세상엔 무수한 직업이 있다지만 우리 같은 고교생이 아는 직업이라곤 의사·변호사를 비롯한 몇몇 전문직이 전부예요. 선택의 폭 자체가 한정돼 있는데 무슨 꿈을 어떻게 선택할 수 있죠?"

정지선양은 "학교에서 진로진학 수업이 개설되긴 하지만 대다수의 친구가 그 시간에 다른 공부를 하거나 부족한 잠을 보충한다"고 말했다. "설사 관심 있는 분야가 생긴다 해도 알아볼 시간이 없어요. 사정이 이러니 꿈을 향한 구체적 계획 같은 걸 세우는 일은 거의 불가능하죠. 덮어놓고 '꿈 없다'며 질책하기보다 자녀의 관심사를 물어본 후 그에 관한 실질적 도움을 주시는 부모님이 좀 더 많아졌으면 좋겠어요."

◇따뜻한 관심 원해… 단 '간섭' 말고 '격려'

"부모님은 자식 공부도 몸소 관리해야 잘될 거라고 믿으시는 것 같아요. 한창 공부하고 있는데 불쑥 '졸았던 것 아니냐'고 물어보시면 공부하고 싶은 기분이 싹 달아나곤 합니다."(김도경)

인터뷰에 응한 여섯 학생은 "누구보다 공부에 신경 쓰는 건 우리 자신"이라고 입을 모았다. 박준영군은 "집에서 공부하면 부모님은 부모님대로, 난 나대로 스트레스가 쌓여 교내 자율학습실을 이용하고 있다"고 말했다. 송성은양은 "매일 아침 7시면 나가 밤 10시쯤에야 귀가하는 일상이 반복되다 보니 막상 집에 왔을 땐 다그치는 말('공부 열심히 했어?')보다 격려하는 말('힘들었지?')이 훨씬 듣고 싶더라"고 말했다. 이강준군 역시 "힘든 하루를 마치고 집에 왔을 때 부모님이 '수고했다'며 안아주시면 '내가 사랑받고 있구나'란 느낌이 든다"고 말했다. 부모와 자녀 둘 다 '따뜻한 관심'을 원하지만 양자의 온도엔 상당한 격차가 있다는 걸 보여주는 대목이다. 송성은양은 "지금 부모님 입장에선 학창시절이 장밋빛으로 기억될 수 있겠지만 당장 닥친 현실을 힘겨워하는 우리 입장을 조금만 더 고려해 기대치를 좀 낮춰주셨으면 좋겠다"고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