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대다수 고교생의 목표는 '대학 합격'이다. 하지만 대학 문턱을 넘자마자 '취업'이란 새로운 장벽이 나타난다. 그런 점에서 캐나다 유학 후 취업 비자와 영주권을 동시에 취득할 수 있는 조선에듀케이션의 '센테니얼대 EAP(English for Academic Purposes)'는 썩 괜찮은 대안이다. 이 프로그램의 최대 특성은 국내에서 단기(4개월~1년) 어학 코스를 이수하면 캐나다 센테니얼대에 곧바로 입학할 수 있다는 것이다. 센테니얼대에서 2년 과정을 마치면 지난 2008년 제정된 캐나다 신(新)이민법 CEC(Canada Experience Class, 이하 'CEC 이민법')에 따라 최대 3년까지 취업 비자를 받는다. 정규직 취업 후 1년 이상 근무하면 정식 영주권 신청 자격 취득도 가능하다. 이와 관련, 맛있는공부는 센테니얼대 졸업 후 캐나다 현지 취업에 성공한 3인의 얘길 들었다.
의료기기 전문기업서 근무 김규현씨(2009년 졸·의생명공학기술 전공)
"다양한 취업 지원 프로그램 적극 활용"
지난 2009년 센테니얼대 의생명공학기술(Biomedical Engineering Technoloist) 전공을 졸업한 김규현(33)씨는 캐나다 의료기기 전문 기업 '에어 리퀴드 메디컬(Air Liquide Medical)'에서 3년째 근무 중이다. 지난해엔 CEC 이민법에 따라 영주권도 취득했다. 그는 지난 2008년 센테니얼대 입학 당시 국내 모 전문대에서 의공학을 전공한 사실을 인정받아 2학년으로 편입했다.
"영어 실력이 달려 첫 학기엔 꽤 고생했어요. 공부가 어려울 땐 학과 코디네이터들의 도움을 많이 받았죠. 교수진이 대부분 현장형 전문가여서 철저한 실무 중심 교육이 이뤄진다는 점이 좋았어요. 졸업 전까지 기업 인턴십 과정도 세 차례 경험할 수 있고요. 제 경우 방학 없이 연달아 공부해 2년 과정을 1년 4개월 만에 마치고 일찌감치 취업할 수 있었습니다."
김씨는 교내 취업 지원 프로그램도 적극 활용했다. 센테니얼대는 3학기에 이력서 작성법과 면접 비결 등을 알려주는 세미나 등을 많이 개설한다. 교내에 취업 지원 부서도 마련돼 있다. 김씨는 5년간의 캐나다 생활에 대해 "더없이 만족스럽다"고 말했다.
"유학 전 한국에서도 유사 업종에 근무한 적이 있는데 지금 생활과는 완전히 달랐어요. 매일 야근하며 열심히 일했지만 늘 불만스러웠죠. 요즘은 오후 4시에 퇴근, 미술·테니스 등 취미 생활을 즐기며 자기계발에 신경 쓸 여유도 생겼습니다."
글로벌 자동차기업 입사 김우진씨(2012년 졸·자동차정비 전공)
"실무 경험 풍부한 교수진, 강의 내용 우수"
김우진(36)씨는 지난 2010년 '자동차 엔진 전문가'의 꿈을 이루기 위해 캐나다로 향했다. 그가 택한 전공은 센테니얼대 인기 전공 중 하나인 자동차정비(Motive Power Technician). 김씨는 "교수진 대부분이 5년 이상의 현장 경험을 갖추고 있어 강의 내용이 우수했다"며 "학과 내 5개 실험실에서 자동차 엔진·전기·용접 등 전공 관련 내용을 빠짐없이 배울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
"영어 실력이 부족해 매일 수업이 끝나면 도서관으로 향했어요. 끊임없이 책을 읽고 유튜브 등에서 자동차정비 관련 동영상을 찾아보며 공부에 매달렸죠. 덕분에 학과 동기의 오답을 제가 먼저 찾아낼 정도로 실력을 쌓을 수 있었습니다."
센테니얼대 재학 중 아우디에서 근무했던 그는 졸업 후 랜드로버 재규어로 자리를 옮겼다. 김씨는 "기껏 자동차정비를 전공하고도 입사 직후 주차·세차 등의 업무를 맡아 당황하는 유학생이 적지 않다"며 "하지만 이는 전문 기술자로 인정받기 위해 누구나 거쳐야 할 과정"이라고 설명했다.
"센테니얼대에서 보낸 2년은 제게 정말 소중한 기회였어요. 제가 정말 원했던 자동차 엔진 관련 공부를 할 수 있었으니까요. 대학에서 배운 지식을 활용, 전문 기술자로 한 걸음씩 내딛는 제 모습이 매우 만족스럽습니다."
IT기업 프로그래머로 활약 홍종민씨(2012년 졸·소프트웨어공학 전공)
"한국인 어드바이저, 학업·생활 조언해"
홍종민(27)씨는 캐나다 토론토 소재 IT 기업 'JSL 소프트웨어 솔루션스(JSL Software Solutions Inc.)'에서 자바 디벨로퍼(Java Developer)로 근무 중이다. 그는 요즘도 툭하면 "센테니얼대 유학이 내 삶을 바꿨다"고 말한다. 국내 모 대학에서 컴퓨터공학을 전공하던 중 유학을 결심한 그는 (전공 분야에 대한) 학교 명성과 커리큘럼, 취업률 등을 꼼꼼히 따져 센테니얼대를 택했다.
"학교 졸업 후 이민 계획까지 세웠던 터라 '현지 실무 경험 가능 여부'를 가장 꼼꼼하게 따졌어요. 그런 면에서 마지막 학기에 기업 인턴십 프로그램을 갖춘 센테니얼대는 제게 안성맞춤이었죠."
홍씨는 센테니얼대에서 2년 과정인 소프트웨어 공학(Software Engineering Technician) 전공을 선택했다. 센테니얼대 커리큘럼은 졸업 후 바로 취업이 가능하도록 설계된 게 특징. 교내에 한국인 어드바이저가 배치돼 학업이나 생활 관리와 관련된 조언을 받을 수 있는 점도 좋았다.
그가 유학 생활을 무사히 마치고 현지 취업에 성공한 비결 중 하나는 적극적 태도다. "수업 중 주어지는 팀 프로젝트에서 리더를 자청해 팀을 이끌며 캐나다 문화와 사람들의 특성을 익혔습니다. 이런 경험이 취업 후 현지 회사에 빠르게 적응하는 데 큰 도움이 됐어요. 센테니얼대 유학을 꿈꾸는 후배라면 꿈을 갖고 자신이 늘 하고 싶었던 분야에 도전하길 바라요. 꿈이야말로 외롭고 고된 유학 생활을 버틸 수 있는 원동력이거든요."
☞ 센테니얼대학(Centennial College)
캐나다 온타리오주(州) 소재 주립대로 지난 1966년 설립됐다. 캠퍼스 내에 포드·도요타·GM·화이자제약 등 내로라하는 다국적 기업이 교육센터를 직영할 정도로 산학협력이 잘 이뤄져 있다. 졸업생 평균 취업률은 90% 선. 주요 개설 전공은 (관광)경영학·컴퓨터공학·의과학·교통학 등이다.
센테니얼대 EAP 프로그램 설명회
조선에듀케이션은 캐나다 온타리오주(州) 소재 주립대인 센테니얼대 EAP 프로그램 설명회를 개최한다. 센테니얼대 EAP 프로그램은 단기(4개월~1년) 어학 코스 수료자에 한해 내신성적 등 다른 조건에 상관없이 센테니얼대 입학 자격을 부여하는 프로그램이다.
●일시: 4/6(토) 오전 10시, 오후 2시
●장소: 서울 외교센터빌딩 2층 203호(서초구 서초동)
●문의: (02)566-8672 www.centennialeap.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