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인권 운동가들이 16일 광둥성 광저우 인민공원에서'북한 핵실험은 은혜를 원수로 갚는 것' '조선은 무뢰하고 중국은 무기력하다'는 플래카드를 들고 북한 규탄 시위를 벌였다. 랴오닝성 선양 북한 영사관 앞과 지린성 창춘, 안후이성 허페이 등에서도 반북(反北) 시위가 잇따랐다. 시위 규모는 작았지만 한꺼번에 여러 곳에서 일어난 시위가 중국 국민의 대북 감정 변화를 상징한다. 중국 네티즌들은 북한의 핵실험을 감싸는 듯한 중국 정부 태도를 비판하면서 대북 원조 중단과 국제사회의 대북 경제·군사 제재까지 요구하고 있다.

중국의 학자·언론인도 대북 정책 전환을 촉구하고 나섰다. 대표적 한반도 전문가인 주펑 베이징대 교수는 싱가포르 일간지 연합조보 기고에 "지금 시점에서 김정은의 바람막이가 돼야 한다는 중국 관료가 있다면 정신병자일 것"이라고 썼다. 중국 환구시보 편집장은 "북한 정권이 잘못된 길을 가는 바람에 북한 인민이 대가를 치르게 생겼다"고 비판했다. 상무부 산하 연구소의 연구원은 "북한 핵과 미사일은 뜻밖의 변고(變故) 상황에선 중국 쪽으로 향할 수 있다"는 주장도 폈다. 중국 지식인 중에는 북한을 '사악한 체제' '깡패 국가'로 표현하는 사람도 있다.

중국 네티즌은 중·북 국경에서 100㎞밖에 떨어지지 않은 곳에서 핵실험이 벌어져 중국 영토 일부도 방사능에 오염됐을 가능성이 있다고 문제를 제기했다. 이에 따라 중국 환경보호부는 북한 3차 핵실험 후 12개 모니터링 팀을 국경 지대에 보내 대기와 지하수, 토양의 방사능오염 조사에 나섰다.

한 나라의 외교는 직간접으로 국민 여론의 영향을 받게 된다. 지식인들의 목소리는 더 크게 외교 정책에 반영된다. 중국도 장기적으로 그런 방향으로 변화하고 있다. 중국의 대북 정책을 바꾸려면 당장 중국 정부를 설득해야 하지만 민간 차원 교류와 접촉도 더 늘려야 한다. 그러면서 국민 여론이 바뀌어 정부 정책에도 영향을 미치게 해야 한다.

한·중 무역과 관광객 규모에 비해 문화·예술·스포츠·학술 분야 교류는 활발하지 못했다. 중국에서 공부하는 한국 유학생과 한국에 온 중국 유학생이 각각 6만명을 넘는다. 중국의 북한 유학생 900명, 북한의 중국 유학생 150명과는 비교가 안 된다. 그러나 한국·중국 젊은이들 사이 우호와 신뢰가 중국·북한만큼 깊다고 할 수 없다. 우리 정부는 물론 기업도 양국 전문가와 일반인 사이 소통과 이해의 폭과 깊이를 더할 방안을 만들어 가야 한다.

[사설] 與·野, 새 정부 출범 너무 늦지 않도록 긴급 대화 가지라
[사설] 고위 판·검사 출신이 법 어기면 법치 사회 불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