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년 브라질 신문사들과 세계 최대 검색업체 구글이 싸움을 벌였다. 154개 신문이 모인 브라질신문협회(ANJ)는 구글에 콘텐츠 사용료를 내라고 요구했다. 구글은 신문의 주요 기사 제목과 첫머리 2~3줄을 보여줬고 구글 이용자가 해당 기사를 클릭하면 신문사 웹사이트로 연결됐다. 그러나 구글은 "레스토랑에 관광객을 데려다 줬다고 택시 운전사에게 세금을 내라는 것이냐"며 버텼다. 신문 웹사이트가 레스토랑이고 구글은 택시 운전사에 불과하다는 뜻이었다.
▶ANJ는 그해 12월 실험을 했다. 구글에 신문 기사 제목과 첫머리를 보여주면 독자를 신문사 웹사이트로 끌어들일 수 있는지 여러 방법으로 측정했다. 실험을 끝낸 뒤 ANJ는 "구글 뉴스 서비스가 디지털 신문 독자를 늘리는 데 도움이 되지 않았다"고 밝혔다. 오히려 신문 구독을 그만두는 비율만 높아졌다고 했다. 지난해 브라질 신문들은 구글 뉴스와 맺었던 제휴를 끊었다.
▶유럽에서는 프랑스·독일·이탈리아·오스트리아·스위스가 구글에 뉴스 사용료와 세금을 물리거나 콘텐츠 사용 범위를 제한하는 법안을 마련해 왔다. 미국에서는 미디어 재벌 루퍼트 머독이 "구글이 콘텐츠를 도둑질하고 있다"고 했다. 미국은 인터넷 뉴스 독자의 20% 안팎이 구글을 거쳐 간다. '모든 길은 구글로 통한다'는 말이 나올 정도다. 말로는 언론사와 검색 업체가 상생(相生) 관계라고 하지만 실제로는 크고 작은 분쟁이 그치지 않는다.
▶프랑스 언론과 구글이 콘텐츠 사용료 협상을 벌인 끝에 구글이 특별기금 조로 6000만유로(약 900억원)를 내놓기로 했다. 이번 합의를 놓고 프랑스 대통령은 "세계적인 사건"이라 했고 구글 회장은 "역사를 만들었다"고 했다. 그러나 이 돈은 콘텐츠 사용료가 아니다. 프랑스 언론이 디지털 미디어로 옮겨 가는 것을 돕는다는 '기금' 성격이다. 실무를 맡았던 디지털경제 장관은 "면도날 위를 걷는 것 같은 협상이었다"고 실토했다.
▶구글은 처음엔 "사용료를 내야 한다면 아예 프랑스 언론을 구글 검색에서 빼버리겠다"고 맞섰다. 괜한 소리가 아니다. 프랑스 인터넷 뉴스는 전체 유통량의 40%가 구글을 거친다. 구글의 광고 매출도 신문·잡지 사이트의 네 배가 훌쩍 넘는다. 유럽 검색 시장의 82%는 구글 차지다. 몸집이 커진 구글은 툭하면 "사업을 못하겠다"고 으름장을 놓는다. 정통 언론들은 검색 기능 자체를 반대하는 게 아니다. 광고 수익을 나누고 정당한 콘텐츠 사용료를 내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