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朴槿惠) 당선인의 대통령직인수위원회는 15일 현행 15부 2처 18청의 중앙 행정 조직을 17부 3처 17청으로 확대·조정하는 내용의 정부 조직 개편안을 발표했다. 경제부총리제도를 부활하고 미래창조과학부를 신설하는 등 박 당선인이 국정 기조로 밝힌 '경제 부흥'에 초점이 맞춰졌다는 평가다.

박근혜 대통령 당선인은 15일 인수위를 통해 정부 조직 개편 방안을 발표했다. 박 당선인이 이날 서울 종로구 통의동 당선인 집무실에서 토마시 코즈워프스키 주한 EU(유럽연합) 대표부 대사를 면담하며 웃고 있다.

개편안에 따르면 기획재정부 장관이 각 부처의 경제정책을 총괄 조정하는 경제부총리를 겸임하게 된다. 또 현재 교육과학기술부의 과학기술, 지식경제부의 응용R&D(연구·개발) 부문 등이 신설되는 미래창조과학부로 통합된다. 과학 연구 개발 예산을 총괄해온 국가과학기술위원회와 원자력위원회도 미래창조과학부에 흡수됐다. 미래창조과학부는 정보통신기술(ICT) 담당 차관을 두고 기존 방송통신위원회, 지식경제부 등에 흩어져 있던 ICT 관련 기능도 전담시키기로 했다. 교과부는 교육부로, 지식경제부는 외교통상부의 통상 기능을 흡수해 산업통상자원부로, 외교통상부는 15년 만에 통상 기능을 떼내고 외교부로 이름이 바뀌었다.

박 당선인의 대선 공약이었던 해양수산부 부활도 이뤄졌다. 해양정책·해양경찰 기능을 넘겨준 국토해양부는 국토교통부로, 수산 기능을 떼어낸 농림수산식품부는 농림축산부로 각각 이름을 바꾼다. 지식경제부의 외청인 중소기업청은 지경부의 중견기업 정책과 지역 특화 발전 기획 기능을 이관받아 권한이 강화됐다.

인수위는 기존 행정안전부를 안전행정부로 바꾸고 치안 및 생활 안전 부분을 강화하기로 했다. 또 식품 안전 확보를 위해 기존 식품의약품안전청을 처로 승격했다. 이명박 정부가 설치한 특임장관실은 폐지된다.

인수위는 이 같은 내용의 정부 조직 개편안을 오는 21일쯤 의원 입법 형식으로 국회에 제출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