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남녀 임금격차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가운데 가장 큰 것으로 조사됐다. 격차 폭은 10년째 거의 줄어들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30일 OECD 자료에 따르면 2010년 기준 한국 남성의 임금은 한국 여성의 임금보다 평균 39% 높아 28개 OECD 회원국 중 가장 큰 격차를 보였다. 한국의 남녀 임금격차는 OECD 28개국 평균(15%)의 2.6배에 달하며, 2위인 일본(29%)과도 10%P 차이가 났다.
다음으로 남녀 임금격차가 큰 국가는 독일, 이스라엘(21%), 미국, 캐나다, 핀란드, 스위스, 오스트리아(19%), 영국, 체코(18%) 순이었다.
헝가리, 폴란드, 스페인은 6%로 회원국 중 남녀 임금격차가 가장 낮았고, 뉴질랜드(7%), 노르웨이(8%), 벨기에(9%)도 남녀 간 임금 차이가 비교적 적은 수준이었다.
2000년의 한국 남녀 임금격차는 40%로 OECD 회원국 중 1위였다. 이후 10년간 격차는 1%포인트 줄어들었다. 이 기간 일본의 남녀 임금격차는 34%에서 29%로 낮아졌고, 이스라엘은 28%에서 21%로, 미국은 23%에서 19%로, 캐나다 24%에서 19%로, 오스트리아는 23%에서 19%로 각각 격차를 줄여나갔다.
한국 여성의 임금이 남성보다 크게 낮은 것은 단순 사무직이나 비정규직에 종사하는 여성이 많고, 출산과 육아 부담에 따라 경력이 단절되는 경우도 많기 때문인 것으로 추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