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선 공식 선거운동이 27일 시작되면서 박근혜 새누리당 후보와 문재인 민주통합당 후보 간의 TV 광고 경쟁도 불붙었다.

현행 선거법상 각 후보는 선거운동 기간 총 30회 TV 광고를 활용할 수 있다. TV 광고 한 회는 '60초 이내'로 정해져 있다. 양측은 선거운동 첫날인 27일 저녁부터 첫 번째 TV 광고를 내보냈다.

박 후보의 첫 광고는 박 후보가 2006년 지방선거 유세 당시 '면도칼 테러'를 당했던 것을 소재로 활용했다. 광고는 박 후보가 직접 출연해 창문을 통해 비가 내리는 바깥을 바라보는 화면으로 시작했다. 이후 2006년에 테러를 당할 당시 모습, 현재 얼굴에 남아있는 상처 등이 나온다.

당시 병원 앞에서 촛불을 들고 쾌유를 빌던 지지자들의 모습은 초상권 문제가 있어 당시 화면을 기준으로 재연해서 처리했다.

성우가 독백하는 형식으로 "여러분이 저를 살리셨다. 그때부터 남은 인생, 국민의 상처를 보듬기로 결심했다. 이제 여러분께 저를 바칠 차례다"라고 말한다. 변추석 홍보본부장은 "광고를 총 8개 촬영했으며 상황과 상대방 광고에 따라 5개 정도를 실제 방송에 내보내려고 한다"며 "전반적인 콘셉트는 '이미 준비되어 있는 여성 대통령 박근혜'"라고 밝혔다.

27일 밤 박근혜 후보와 문재인 후보의 대선 TV 광고가 나가기 시작했다. 박 후보는 2006년‘면도칼 테러’를 당했던 사건(위)을, 문 후보는 서울 구기동 자택에서의 일상(아래)을 소재로 삼았다.

문 후보의 첫 TV 광고는 서울 구기동 자택의 일상을 담았다. 문 후보가 맨발로 거실 소파에 앉아 정책 자료와 연설문 등을 읽어보고 있는데 부인 김정숙씨가 다림질한 문 후보의 옷을 건네주는 장면 등이 나온다. 문 후보 측 유은혜 홍보단장은 "대선 후보의 자택이 공개되기는 이번이 처음일 것"이라며 "후보 가족의 평범한 생활 현장이 공개될 것"이라고 했다.

광고 후반부에는 대선 후보 수락 연설에 담겼던 '평등한 기회' '공정한 과정' '정의로운 결과'라는 메시지를 후보 육성으로 전달하고, 이어 '새 시대를 여는 첫 대통령'이라는 슬로건을 자막으로 내보냈다.

문 후보 측은 광고 5편을 준비 중이다. 문 후보 측은 "안철수 후보의 선거 지원이 가시화될 경우 '단일화'편을 내보낼 예정이고, 그러지 못할 경우는 젊은 층에게 호소할 수 있는 다른 내용을 준비 중"이라고 했다. 각 후보는 TV 광고와는 별도로 라디오 광고도 30회 가능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