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 문재인 대선 후보와 무소속 안철수 대선 후보가 6일 만나 후보 단일화와 안 후보 측이 단일화 전제 조건으로 제시한 정치 혁신 방안을 논의한다. 안 후보는 5일 "정권교체와 정권교체 이후 원만한 개혁을 통해 새 시대를 열어나가려면 후보 단일화를 해야 한다"면서 "문 후보와 만나 서로의 가치와 철학을 공유하고 정치 혁신에 대한 합의안을 내놓겠다"고 말했다. 문 후보는 안 후보 회동 제의를 즉각 받아들였다. 앞으로 상당 기간 대선 정가(政街)의 최대 관심사는 양자 간 단일화 방안과 그것을 가능하게 하는 공동의 정치 혁신안에 언제 어떻게 합의하느냐로 옮겨지게 됐다.
안 후보가 대선 출마를 선언한 이후부터 문재인 후보 측은 여러 통로를 통해 후보 단일화 협상을 하루라도 빨리 시작해야 한다고 압박해왔다. 안 후보 측은 협상 테이블에 앉기 전에 최대한으로 지지도를 높여 유리한 협상 카드를 쥐기 위해 지연 전략을 펴왔다. 그러나 안 후보가 더 이상 단일화 문제를 비켜갈 경우 단일화를 회피한다는 야권과 그 지지 세력의 비난과 그에 따른 지지도 하락(下落)을 걱정할 수밖에 없는 시점에 이르렀다.
문·안 후보가 무릎을 맞대기로 했지만 이 협상이 곧 끝날지 아니면 시간을 끌지 예측하기 힘들다. 두 후보 진영은 그동안 확장에 확장을 거듭해 와 서로 고정화된 대형 세력을 갖고 있다. 이들 두 세력 이해(利害)관계를 조정하는 일 역시 하루 이틀 만에 매듭지을 수 있는 성격이 아니다. 결국 단일화가 최종 타결될 때까지 대선은 단일화 정국에 빠져들 수밖에 없게 됐다.
대선이 이렇게 흘러가게 된 데는 안 후보 책임이 크다. 그는 출마 여부를 빨리 밝혀달라는 요구에도 출마 시기를 계속 늦춰 오더니 출마를 선언한 뒤론 단일화 시기를 미뤄왔다. 안 후보가 보여온 이 같은 모습은 그가 주장하는 새 정치와도 거리가 멀다.
안 후보가 단일화 전제 조건으로 내건 국회의원 숫자 축소 같은 정치 혁신안이란 것도 현실적으론 별 의미가 없다. 새누리당이 다수 의석을 차지하고 있는 상황에서 문·안 두 후보 측이 그런 안에 합의한다 해도 정치권 전체의 이해관계를 조정할 수 있겠는가.
단일화의 핵심은 결국 누구를 어떤 방식으로 단일 후보로 결정하느냐이다. 대선 후보 등록 마감일인 오는 25일까지 시일이 촉박해 대의원 투표나 국민 경선 같은 방안은 거의 물 건너간 분위기다. 남은 방안으론 지지도를 배경으로 누가 뱃심이 더 센가 담력으로 담판하거나, 여론조사 정도가 거론되고 있다. 민주주의 국가에서 이런 식으로 대선 후보를 결정하는 것이 국민의 선택권을 보장하는 올바른 방안이라고 하긴 힘들 것이다.
국민이 나라의 진로를 염두에 두고 어느 후보가 나은지 선택하려면 그들이 내놓은 정책 답안지를 보고 판단할 최소한의 숙고(熟考) 기간이 필요하다. 모든 대선 쟁점이 단일화란 블랙홀에 빨려 들어가고, 국민은 어떤 방안과 어느 후보로 단일화되는가만 지켜봐야 할 처지가 되는 것은 결코 정상이라 할 수 없다.
입력 2012.11.05. 23:32
100자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