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008년부터 올 9월까지 5년간 국회 외통위·국방위 소속 의원실 38명의 사무실 컴퓨터가 해킹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새누리당 신의진 의원이 21일 국회 사무처 등으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이 기간 여야 외통위·국방위 소속 의원실 직원 가운데 2008년 외통위 소속 1명, 2009년 국방위 소속 3명이 사무실 컴퓨터에 심어진 악성 코드 실행으로 저장 자료가 통째로 유출된 피해를 입었다. 2011년에는 외교·국방위가 아닌 다른 상임위 소속 의원실 1명도 같은 피해를 본 것으로 집계됐다.
국회 사무처는 "의원실에서 유출된 자료의 세부 목록은 보유하고 있지 않다"고 제출한 자료에서 밝혔으나, 신 의원 측은 "당시 이런 피해를 입은 의원실 컴퓨터에는 국방부 예산과 방위사업청 제출 자료, 6자회담 관련 자료 등이 있었던 것으로 파악됐다"면서 "2008년 해킹을 당한 외통위 의원실의 경우 사무실 컴퓨터 안에 있던 자료 총 1036개가 유출된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나머지 의원실 34명은 사무실 컴퓨터가 해킹에 의해 이메일 비밀번호가 유출된 경우다. 국방위 소속 의원실 19명, 외통위 소속 의원실 15명이다. 정보위 소속 의원실 3명도 이메일 비밀번호가 유출됐지만 정보위의 경우 의원 본인에게 직접 대면(對面) 보고를 하는 특성상 국가 기밀 자료가 이메일을 통해 유출됐을 가능성이 작다는 게 국회 관계자들의 설명이다. 대표적인 이메일 해킹 피해 의원실은 2010년 민주당 송민순 의원실(외통위), 2011년 한나라당 김장수 의원실(국방위) 등으로 전해졌다.
또 올 초부터 9월까지는 여야 의원실 17명의 컴퓨터가 해킹에 의한 이메일 비밀번호 유출 피해를 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부분 국회 내 공용(公用) 이메일이 아니라 일반 상용(商用) 이메일 비밀번호인 것으로 알려졌다. 신 의원 측은 "이메일 비밀번호가 유출됐을 경우 해당 의원실도 모르는 사이에 각 부처에서 보내준 각종 자료가 빠져나갔을 수 있다"며 "피해가 생각보다 훨씬 심각할 수 있다"고 했다.
IP 추적 결과, 지난 5년간 미국·홍콩·중국 등 15개 국가를 통해 해킹이 이뤄진 것으로 나타났다.
입력 2012.10.22. 03:01업데이트 2012.10.22. 09:24
100자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