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들은 대체로 문재인 민주통합당 후보와 안철수 무소속 후보의 단일화로 인한 '역풍(逆風)' 가능성은 크지 않을 것으로 내다봤다. 대선이 임박한 시기에 이뤄져 온 야권 단일화가 '정치쇼'로 인식될 수는 있지만 부정적 여론이 확산될 공산은 크지 않다는 것이다. 다만 뚜렷한 명분이 없는 단일화가 이뤄진다면 역풍이 생길 수도 있다고 전망했다.

한국사회여론조사연구소 윤희웅 실장은 "안 후보의 지지 기반인 중도·무당파 층 일부가 문 후보를 지지하지 않는 현상이 있지만, 기본적으로 두 후보의 지지층은 상호 배타성이 적고 수용 가능성이 큰 것으로 확인되고 있다"고 했다. 윤 실장은 "이 같은 특성 때문에 두 후보의 단일화로 인한 역풍 가능성은 크지 않아 보인다"고 했다. 조진만 덕성여대 교수는 "2002년 노무현·정몽준 후보가 단일화했을 때도 역풍은 별로 없었다"고 했고, 임성학 서울시립대 교수는 "야권 지지자들의 정권 교체 여망이 큰 상황에서 단일화를 안 하면 더 역풍이 불 것"이라고 했다.

두 후보 중 누가 단일 후보가 되느냐에 따라 단일화 효과가 달라질 것이라는 분석도 있다. 신율 명지대 교수는 "단일화로 인한 역풍 가능성은 별로 없지만 문제는 중도·무당파 층인데, 문 후보는 아직 이들을 흡수할 방안을 내놓지 못하고 있다"고 했다. 안 후보를 지지했던 중도층 일부가 단일화로 일부 이탈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는 얘기다.

그러나 이철희 두문정치전략연구소장은 "국민의 동의를 얻을 명분이 없는 단일화라면, 일부 실망 층이 생겨나 역풍이 생길 수도 있다"고 했다. 김형준 명지대 교수는 "(상호 비방 등으로) 단일화가 아주 지저분하게 진행되는 경우 '결국 이 사람들도 똑같구나'라는 인식이 퍼져 역풍이 불 수 있다"고 했다. 결국 역풍 가능성이 높지는 않지만 단일화 과정에서 싸움이 크게 번질 경우 새누리당 박근혜 후보에게 오히려 유리해질 수도 있다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