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경제에 급브레이크가 걸리면서 경(硬)착륙할 것이라는 걱정이 점점 커지고 있다. 중국 국가통계국은 9월 제조업 구매관리지수(PMI)가 49.8을 기록해 두 달 연속 기준치인 50을 밑돌았다고 발표했다. 8월 수출 증가율은 2.7%에 그쳐 작년 같은 달의 24.5%에 크게 미치지 못했고, 소매 판매액 증가율은 13.2%로 2008년 금융위기 이후 최저 수준을 나타냈다.
중국의 성장률은 1분기 8.1%, 2분기 7.6%에 그친 데 이어 3분기에는 더 떨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올해 성장률 목표치 7.5% 달성이 어려울 것이라는 전망도 나오고 있다. 세계 최대의 경공업 제품 생산기지인 광둥(廣東)성 둥관(東莞)시 경제가 파산 위기를 맞고 있다는 소식도 들린다.
중국 경제가 어려워진 것은 최대 수출시장인 유럽의 경기침체가 장기화한 탓이 크다. 중국은 때마침 정권 교체기를 맞아 주요 정책 결정이 지연되고 있다. 철강·조선 등 과잉 투자 상태인 제조업 분야를 구조조정하지 못한 채 세월을 보내는가 하면, 변변한 경기 부양 대책도 내놓지 못하고 있다. 중국 경제가 세계 경제의 새로운 불안 요인으로 떠올라 아시아 주변국들이 타격을 받는 데 그치지 않고 전 세계가 성장 동력을 잃어가고 있다.
한국은 '차이나 리스크(China risk)'에 가장 취약한 나라에 속한다. 한국의 대(對)중국 수출 의존도는 24%를 넘어 대만에 이어 세계에서 둘째로 높다. 한국이 중국으로 수출하는 상품의 67%는 중국에서 재조립해 수출하거나 내수용으로 판매하는 중간재여서 중국 경제가 침체하면 곧바로 우리 수출은 줄어들 수밖에 없다. 올 들어 8월 말까지 중국에 대한 수출이 작년보다 2.4% 줄어들면서 전체 수출도 1.5% 줄었다.
중국의 성장률이 1%포인트 떨어지면 우리 성장률도 0.4%포인트 낮아진다는 분석이다. 그러지 않아도 저성장 궤도에 접어든 한국 경제가 내년엔 더 혹독한 몸살을 앓을 수 있는 것이다. 새 정권이 들어서면 당장 중국발(發) 쇼크를 최소화할 수 있는 처방부터 서둘러야겠지만, 중·장기적으로 수출 시장을 다변화하고 내수(內需) 시장을 키워 중국에 대한 지나친 의존을 낮출 수 있는 근본 대책이 나와야 한다.
[사설] 2012 대선, '國政'은 증발하고 편 가르기만 하다 끝낼 건가
[사설] 구멍 숭숭 뚫린 '학교 안전대책' 바탕부터 새로 짜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