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권은 정수장학회와 마찬가지로 영남대도 여전히 박근혜 후보의 영향력 아래에 있다고 주장한다.

박 후보는 1980년 3월 영남대 재단인 영남학원 이사에 취임한 데 이어 한 달 뒤 3대 이사장으로 취임했다. 재학생들이 반대시위를 하는 등 반발이 있자 7개월 만에 이사장직에서 물러나 이사직만 유지했다. 1988년 영남대는 학내 분규에 휩싸였다. 부정입학, 산하 영남투자금융·영남의료원 비리가 불거졌다. 박 후보는 1988년 11월 이사직도 사퇴했다.

학내 비리에 대해 박 후보는 2007년 한나라당 경선청문회에서 "이사 임무와는 무관했고 관여한 적이 없다. 조금이라도 내게 잘못된 점이 있었다면 역대 정권에서 법적으로 문제가 됐을 것"이라고 했다.

박 후보 측은 "이사장 재임 때 20만원의 판공비를 1번 받았고 그 외 이사회 참석 때 몇만 원 정도의 출무 수당을 받았을 뿐"이라고 했다.

영남대가 재단 돈으로 박 후보를 간접 지원했다는 문제제기도 있었다. 1987년 박 후보는 대만 문화대학에서 명예문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이 과정에서 영남대는 박정희 기념관 건립기금 중 800여만원을 대만 문화대학에 기부금으로 출연했다. 박 후보는 "두 대학 간에 1975년부터 교류가 있었고 서로 지원도 했는데, 그게 무슨 기부금을 냈다는 것인지 저는 모른다"고 했다. 1986년 영남재단 산하 영남의료원과 영남투자금융은 각각 3740만원, 1억3000만원을 육영재단에 기부했다.

이에 대해 박 후보는 "제가 강요한 적은 없다. 제가 (육영재단) 이사장이라는 것도 배려가 되지 않았을까 생각된다"고 했다.

1986년 영남대병원장의 해외출장비 280여만원이 박 후보의 동생 지만씨의 미국행 항공료로 사용됐고 당시 병원장이 미국에 동행한 적이 있었다. 박 후보는 "동생이 충격에서 안정이 안 된 상황에서 보호자로 간 것이 아닌가, 그렇게 생각한다"고 했다. 1988년 관선이사체제로 전환된 영남대는 2009년 정상화됐다. 사학분쟁조정위원회는 '설립자 유족'인 박 후보에게 이사 7명 가운데 4명의 추천권을 줬다. 박 후보는 현 이사장인 우의형 전 서울행정법원장 등을 추천했다.

영남대는 박정희 전 대통령이 1967년 청구대와 대구대를 통합해 설립했다. 박 후보가 이사로 있던 1981년 영남학원 정관 1조에 '교주(校主) 박정희 선생의 창학정신에 입각하여'라는 문구가 삽입된다. 박 후보는 "그 결정을 했던 이사회에 참석했으며 당시 이사 중 한 분의 제안으로 이뤄졌다"고 했다. 이 문구는 2011년 5월 '설립자 박정희 선생의 창학정신에 입각하여'로 바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