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지 취재팀은 한국에 체류한 지 3개월 이상 되는 26개국 출신의 외국인 100명에게 '한국의 술 문화와 관련된 가장 기억나는 에피소드가 무엇인가'를 물어봤다. 이 질문의 대답 속에는, 우리에게는 너무나 익숙하지만 외국인에게는 '황당하게' 보이는 우리 술문화의 실체들이 들어있었다.

"한국에선 늘 '원샷'을 외친다"

외국인들이 공통적으로 이해 못하는 한국의 술 문화는 '술 강요'다. 주량(酒量)과 의사(意思)에 상관없이 술자리에 모인 사람들이 함께 술잔을 비워야 하는 모습을 외국인들은 "이해하기 어렵다"고 말한다. 영국에서 온 존(29)씨는 "영국에서는 아무도 원샷을 하지 않는데, 이곳에서는 늘 '원샷'을 외친다"며 "특히 '마셔, 마셔, 마셔. 더, 더, 더' 이런 문화에 질렸다"고 했다. 대학에서 영어수업을 하고 있는 그는 "천천히 마시겠다고 해도 계속해서 강요하는 바람에 기절한 적도 있다"고 했다. 일본에서 10개월 전 왔다는 A(22)씨는 "다 같이 한꺼번에 술을 마셔야만 하는 '파도타기'를 이해하기 어렵다"고 했고, 독일에서 온 제라드(38)씨는 "독일은 이야기를 나누기 위해 술을 마시는데, 한국은 술을 마시려고 모인 것 같다"고 했다. 미국인 B(23)씨는 "술을 잘 못하는 사람들에겐 술 강요는 분명 폭력인데, 이런 현상이 너무나 자연스럽다"고 했다.

(사진 왼쪽)車道에 머리 둔채… 주변 상점이 대부분 문을 닫은 늦은 시각, 한 남성이 술에 취해 차도에 머리를 둔 채 잠에 빠져 있다. 이 남성 뒤로 트럭이 라이트를 켜고 있다. (사진 오른쪽)인증샷 찍는 외국인… 지하철 안에서 한 남성이 배낭을 베고 좌석 5칸을 차지하고 자고 있다. 앞에서 외국인이‘인증샷’을 찍고 있다.

기약 없이 길어지는 술자리도 외국인들에겐 낯설기만 하다. 미국인 사업가 란(여·52)씨는 "한국인들은 술자리에서 술을 엄청 마신 뒤, 곧장 '2차 가자'고 한다"며 "2차가 끝나면 꼭 3차로 노래방을 가는데, 괜찮다고 사양해도 꼭 노래방을 가야 끝나는 술 문화가 정말 이상하다"고 했다. 캐나다인 C(여·29)씨는 한국의 술 문화를 "토할 때까지 술 마시는 문화"라고 정의했다.

길거리에 쓰러져 자는 게 일상인 나라

술 취해 인사불성이 돼 길거리에 구토를 하고, 쓰러지는 모습도 외국인들의 눈에는 신기하기만 하다. 프랑스에서 10개월 전에 한국에 온 D(여·21)씨는 "한국에 처음 와서 길거리에 쓰러져 있는 사람을 보고 놀랐지만 일주일 만에 이해할 수 있었다"면서 "술에 취해 길거리에 쓰러져 있는 모습이 한국에선 일상이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영어강사인 미국인 스테파니(여·30)씨는 "양복을 입고 길거리에 기절해 있는 사람이 참 신기했다"고 말했다.

3개월 전 한국에 온 미국인 E(여·27)씨는 "만약 누군가 길에서 술에 취한 사람을 볼 때마다 나에게 1달러를 준다면, 한국에선 일할 필요가 없을 것 같다"고 했다.

술 마시면 무서워지는 한국인들

한국의 술 문화가 외국인들에게 '신기한 현상'을 넘어서 '위협'으로 다가오기도 한다. 취재팀이 외국인 100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한 결과, '한국에서 술에 취한 사람과 시비에 휘말린 적이 있나요?'란 질문에 21%가 '그렇다'고 답했다. '길거리에서 술에 취한 사람을 보고 위협을 느낀 적이 있다'고 답한 외국인도 33%에 달했다.

두바이에서 온 말릭(30)씨는 "한국 술 문화는 한마디로 좋지 않다(no good)"며 "소리 지르고 욕하는 사람이 너무 많다"고 했다. 실제로 폭행을 당한 경험이 있는 외국인도 있었다. 중국에서 온 G(20)씨는 "노래방에서 친구들과 노래를 부르고 나오다, 옆방 사람들과 부딪혔다"며 "그 사람들이 갑자기 욕을 하고 때렸다"고 했다. G씨는 노래방 주인의 반응이 가장 황당했다고 했다. 노래방 주인은 이랬다. "술 많이 마신 사람이니 참으라."

[[천자토론] 술에 너그러운 대한민국, 어떻게 생각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