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에서 주(州)정부 재정 적자를 줄이기 위해 공무원 노조의 권리를 대폭 축소시켰던 주지사가 노동계와 좌파가 주도한 주민소환선거에서 이겨 극적으로 생환했다.

AP통신은 5일 치러진 위스콘신주 주지사 주민소환선거 결과, 공화당 소속 스캇 워커(44·사진) 현 주지사가 민주당 후보인 톰 배럿(58) 밀워키 시장을 상대로 득표율 53%대46%로 승리해 주지사 자리를 지켰다고 6일 보도했다.

워커 주지사는 지난해 재정적자 타개를 위해 공무원의 건강보험료와 연금납부액을 인상하고 임금 인상 폭을 제한하며, 노조비 납부를 노조원 자율에 맡기고 노조가 이를 매년 재승인받도록 하는 내용의 입법안을 통과시켰다.

민주당과 노동계는 이에 반발해 지난해 11월 100만 명으로부터 주지사 소환청원 서명을 받아 그를 심판대에 세웠다.

2010년 보수주의 시민운동인 티파티의 지원으로 당선된 워커는 당시 민주당 소속의 전임 주지사로부터 물려받은 30억달러 규모의 정부부채를 해결하겠다고 공약하고, 첫 조치로 공무원 노조에 철퇴를 내렸다. 피해를 보는 이들이 워낙 격렬하게 저항하는 데다 미국의 역대 주지사 소환투표에서 살아남은 이가 없었기 때문에 워커의 몰락이 예상됐다. 그러나 이 때문에 오히려 선거가 전국적 조명을 받았고 투표율 역시 2년 전 주지사 선거보다도 높았던 것으로 집계됐다.

워싱턴포스트는 "이번 위스콘신 주지사 소환선거는 올 11월 대선의 풍향계이자 전초전이었다"고 평가했다.

위스콘신은 지지 정당이 일정치 않은 대표적 스윙스테이트(swing state)로, 좌파의 성지이면서도 티파티 같은 보수운동 세가 강한 곳이다. 이런 곳에서 전형적 이념대립 구도를 띤 선거가 벌어지자 민주·공화 양당은 엄청난 자금을 쏟아붓고 각종 홍보전략을 동원하며 지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