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하철 전 역사에 에스컬레이터와 엘리베이터를 대거 설치하고, 노인만을 위한 '주거지원센터'를 건립하는 등 서울을 '고령자 친화도시'로 만들기 위해 서울시가 다양한 정책을 내놓는다.

6일 서울시 복지건강실에 따르면 시는 빠르게 늘어나는 고령층 시민에게 더 살기 좋은 도시 환경을 만들기 위한 '고령친화도시 실행계획' 세부안을 7월까지 세워 내년부터 본격 시행에 들어간다.

8대 분야 61개 실행계획으로 이뤄진 이번 청사진에는 우선 내년부터 자기 소유나 임대주택에 사는 65세 이상 노인을 대상으로, 주택 개조에 필요한 비용을 국민주택기금으로 융자 지원하는 방안이 들어간다. 노인 대다수가 '하우스 푸어(House Poor·집은 있지만 실질 소득은 거의 없는 사람)'란 점을 감안, 주택 개·보수비를 지원하는 것이다. 2013년부터 2만 가구 지원이 목표.

또 노인들은 신체 능력이 상대적으로 떨어져 집 안에서 활동하는 시간이 많은 반면, 실제 주거 시설은 노인의 신체적 특성을 고려하지 않아 고민이 많다고 보고 이런 문제를 상담하고 지원하는 노인 전용 '주거지원센터'도 2014년부터 설치·운영할 계획이다. 고령자에 적합한 최저주거기준이나 최소안전기준을 설정하고, 고령자가 사는 기존 주택에 노인 편의 설비를 들이는 데 드는 비용 등을 지원할 계획이다.

지하철 역사에는 비슷한 방향으로 나가는 통로마다 엘리베이터를 1대 이상 갖추기로 하고, 이를 위해 2013년 10대 등 2015년까지 총 37대를 추가 설치할 계획이다. 또 지하철 계단에도 에스컬레이터 설치가 가능한 곳이라면 모두 에스컬레이터를 설치하기로 했다.

다양한 여가프로그램도 개발하고, 2013년부터 노인종합복지관에서는 복지관별로 '1복지관 1운동' 특화사업을 벌인다. A복지관은 배드민턴, B복지관은 에어로빅 등 지역별로 프로그램을 특화해 교류하면서 복지관을 활성화한다는 전략이다. 또 건강한 노인과 그렇지 않은 노인이 서로 보살피며 여가도 보내고, 치료도 받을 수 있는 다기능 노인종합복지관도 세우며, 요리교육이나 문화·미술 강좌 등 다양한 인문 교육 강좌를 확대, 2013년 3450명, 2015년 4100명 등 이용 대상자를 늘릴 예정이다.

이 외에도 ▲노인과 장애인이 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주(主)출입구 문턱 등을 없앤 '무(無)장애 건물'을 확대하고 ▲노인뿐 아니라 모든 연령층이 참가하는 '동네예술창작소'나 '우리동네 북카페' 등을 조성하며 ▲사회복지서비스·노인복지시설·노인 상담 등 고령자들이 노후생활과 관련해 필요한 정보를 한꺼번에 모은 인터넷 사이트도 만들어 2014년부터 시범 운영하기로 했다.

2010년 말 100만명을 돌파한 서울시 65세 이상 노인 인구는 15년 뒤인 2027년 195만명으로, 전체 서울 인구 대비 20.3%에 육박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