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6, 27일 서울에서 열리는 제2차 핵안보정상회의가 사흘 앞으로 다가왔다. 이번 회의에는 미 오바마 대통령, 중국 후진타오 주석, 메드베데프 러시아 대통령, 노다 일본 총리 등 53개국 대표와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 등 국제기구 대표를 포함해 국가 수반급 인사 58명이 참석한다. 과거엔 대부분 1박 2일 일정으로 방한하곤 했던 오바마 대통령은 이번엔 2박 3일, 후진타오 주석도 3박 4일간 체류할 예정이다.

핵안보정상회의는 고농축우라늄과 플로토늄같이 핵폭탄을 만들 수 있는 물질을 범죄에 이용하거나, 원자력 시설을 고의로 파괴하는 등의 '핵 테러'를 차단·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그런 만큼 이번 회의는 전 세계 테러 조직의 표적이 될 가능성이 높다. 더구나 테러 조직들이 평소 노려온 전 세계 요인(要人) 수십명이 동시에 서울에 머물게 되는 상황이다. 테러 수법은 나날이 교묘해지고 첨단화하고 있다. 이런 마당에 이 나라는 정권 말 두 차례 큰 선거를 앞두고 어수선하고 혼란스럽기만 하다. 그래서 무엇보다 회의가 사고 없이 무사하게 치러질지가 걱정스럽다.

이번 회의에선 핵 테러에 대비하는 핵 안보(安保) 문제 외에 지난해 후쿠시마 원전 사고 이후 전 세계적으로 우려가 커진 핵 안전(safety) 문제도 논의한다. 북핵은 이번 회의의 공식 의제는 아니다. 그러나 반기문 유엔총장은 22일 말레이시아에서 가진 기자회견에서 북한의 로켓 발사 계획에 '깊은 우려'를 표시하며 이번 핵안보회의 참가국 정상들과 이 문제를 논의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번 회의에는 북한을 제외한 6자회담 참가국 정상이 모두 참석하는 만큼, 이 국가들 간 양자 회담에서 북한의 핵과 미사일 문제가 어떤 형태로든 다뤄지게 될 전망이다.

북한은 며칠 전, 핵안보회의에서 자기들의 핵과 관련된 성명이 발표되면 선전포고로 간주할 것이라고 협박했다. 국내 좌파 단체들과 일부 정당은 '핵안보정상회의 반대행동'을 결성해 회의 기간 중 시위를 벌일 예정이다. 이런 여러 가지 위험 요소가 도사린 가운데 회의를 주최해야 하는 이명박 정부는 이런저런 의혹 사건으로 힘이 크게 떨어진 상태다. 정부는 이번 핵안보회의의 안전 문제를 챙기고, 또 챙긴다는 자세로 임해야 한다.


[사설] 민주·진보 연대, 권력에 눈멀어 正義 걷어찼다
[사설] '불법 사찰' 無能·不實 수사팀 지금 어디 있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