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명박 대통령은 12일 한국신문방송편집인협회 초청 토론에서 "이어도는 한·중 양국 간에 배타적경제수역(EEZ)을 조정하면 자연스럽게 한국 관할에 들어올 것"이라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이어도는 해면 4~5m 아래에 있기 때문에 영토라 할 수 없다"면서도 "그러나 (우리의) 배타적경제수역에 들어간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중국 외교부의 류웨이민(劉爲民) 대변인은 이날 정례 브리핑에서 이어도 문제에 대한 질문을 받고 "우리는 (이어도가 아니라) 쑤옌자오(蘇巖礁)라고 부른다"며 "쑤옌자오가 어디로 귀속될 것인지는 쌍방이 담판을 통해 해결해야 한다"고 말했다. 류 대변인은 "중국과 한국 모두 쑤옌자오를 영토로 여기지 않는 만큼 양국 간 영토 분쟁은 존재하지 않는다는 공통 인식을 갖고 있다"고 했다.
이에 앞서 류츠구이(劉賜貴) 중국 국가해양국장(장관급)은 지난 3일 관영 신화통신 인터뷰에서 "이어도는 중국 관할 해역으로 감시선과 항공기를 통한 정기 순찰 범위에 포함돼 있다"고 밝힌 바 있다.
외교부는 류 국장의 발언이 나온 지 9일 만인 12일 중국 측에 공식 항의했다. 김재신 차관보는 이날 장신썬 중국 대사를 불러 "한·중간 EEZ 경계가 획정되기 전이라도 이어도 수역은 우리 관할 범주에 있다"며 "이번 일이 중국 측이 공식적으로 관할권을 행사하려는 시도라면 우리는 수용할 수 없다"고 말했다고 외교부 당국자가 전했다. 김 차관보는 이날 EEZ 획정 회담을 재개하자는 제안도 했다.
이에 대해 장 대사는 "한국 정부의 입장을 본국에 전달하겠다"면서도 "이어도 주변 수역은 중국의 EEZ에도 포함된다. 거기에 대해서는 한국 도 이해해달라"는 기존 입장을 되풀이한 것으로 알려졌다.
청와대 관계자는 "이달 말 핵안보정상회의 기간 중 열릴 한·중 정상회담을 앞두고 양국 간 현안이 더 쌓여 가고 있다"며 "이어도는 당연히 우리 관할권에 들어온다는 점에서 우리가 문제를 키울 이유가 전혀 없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