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란 핵 시설에 대한 선제공격을 놓고 미국과 줄다리기 중인 이스라엘이 '북미 비핵화 합의'의 향방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이스라엘은 미국이 군사적 압박이 아닌 식량지원과 경제제재를 통해 북한의 우라늄 농축을 중단시켰다는 점에서 향후 북한식 모델이 이란 핵개발 문제 해결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주시하고 있다.
이스라엘 인터넷 언론인 '와이네트'는 1일 "북미 비핵화 합의가 이란에 대한 군사적 공격을 원하는 이스라엘 측에 불리하게 작용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다음주 베냐민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와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 간 정상회담에서 오바마 대통령이 북한 카드를 꺼내 들 가능성이 크다는 것이다.
와이네트는 오바마 대통령이 '북한과 달리 세계경제에 깊숙이 편입된 이란이 국제사회의 외교ㆍ경제 제재에 더 취약한 만큼 서둘지 말고 경제제재가 효과를 낼 때까지 기다려 보자'며 이스라엘을 설득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반면 네타냐후 총리는 '이란은 북한과 같이 궁핍한 국가가 아닌 만큼 경제제재에 큰 타격을 입지 않으며 오히려 핵개발에 더 몰두하게 된다'는 반론을 제기할 수 있다고 전망했다.
와이네트는 "이란이 북한과 같이 심각한 식량부족에 시달리지 않기 때문에 현 시점에서 이란이 시간을 벌지 못하도록 국제사회가 대(對)이란 제재를 강화하는 쪽으로 가닥을 잡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스라엘 정치권도 북한이 식량지원을 대가로 핵프로그램을 중단했다는 점을 강조하면서 이란에 대한 경제제재를 강화해야 한다는 반응을 보였다. 익명을 요구한 한 이스라엘 관리는 "식량지원을 얻기 위해 북한이 핵개발을 중단했다"면서 "이란도 이런 식으로 돼야 한다"고 말했다.
입력 2012.03.01. 15:46
100자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