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한나라당 비상대책위원장은 19일 일부에서 제기된 정수장학회의 국가헌납 또는 이사진 교체 주장에 대해 "(정수장학회와) 저랑은 이제 관계가 없다"고 말했다.
박 위원장은 이날 기자들과의 오찬에서 "정수장학회는 공익재단이기에 이사진이 주인 역할을 한다"며 "사회에 이미 환원했고 (저는) 관여하지 않는다. 이미 환원했는데 뭘 더 환원을 하라는 것이냐"고 했다.
박 위원장이 지난 1994년부터 2005년까지 이사장을 맡았던 정수장학회는 5·16 군사쿠데타 직후 부산 지역 언론인 김지태씨가 소유하고 있던 부일장학회와 부산일보사 등을 국가에 헌납하도록 해 만들어진 재단이다.
박 위원장은 또 정수장학회가 소유하고 있는 부산일보의 편집권 독립 요구에 대해서도 "알아보니 (편집)국장을 노조가 뽑더라. 완전한 (편집권) 독립"이라며 "더 알아보니 부산일보에선 사장 선임권을 달라는 것이더라. 그건 이사진과 부산일보가 논의해야지 관계없는 내가 왜 (논란에) 들어가야 하나"라고 했다.
박 위원장은 "지난 정부에서도 (정수장학회의) 사회 환원 문제를 해결한다고 했지만, 법적으로 문제가 없고 다 소명됐기 때문에 접었다"면서 "그런데 또 얘기가 나온다. 모든 것이 잘못 알려진 부분에 대해 아쉽게 생각한다"고 말했다.
박 위원장은 또 4월 총선에서 지역구인 대구 달성을 떠나 수도권에 출마하거나 비례대표로 나서야 한다는 당내 일각의 요구에 대해 "지역에 뼈를 묻겠다고 지역민들과 약속했는데 지역민들을 존중하고 정치를 마쳐야지 왜 다른 데로 (지역구를) 옮기느냐"면서 "저는 정치를 안 하면 안 했지 그런 식으로는 안 한다"고 말했다. 또 "지역민들에 한 약속은 소중하다"며 "아직 얘기를 나눠보지 않았다. 단독으로 (결정)하는 것은 안 된다"고 했다. 그는 CNK 다이아몬드 개발권과 관련한 주가 조작 의혹과 관련 "철저히 조사해서 원칙대로 처리하고 필요하면 일벌백계해야 한다. 반드시 대가를 치르도록 해야 한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