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우편사업을 총괄하며 예금, 보험, 택배 사업까지 하고 있는 지식경제부 산하 우정사업본부가 수익성이 향상된 것처럼 꾸미기 위해 2007년부터 2009년까지 3년간 1860억원의 분식회계를 한 것으로 감사원 감사 결과 드러났다.
감사원은 16일 "우정사업본부는 2007년 예금사업에서만 114억원의 적자가 발생했는데도 보유하고 있던 유가증권을 팔아 총 1077억원의 흑자가 발생한 것처럼 회계를 조작했다"고 밝혔다. 또 각 시군구 우체국들은 직원들의 성과급과 연관되는 택배 물량을 늘리기 위해 배달 원가의 절반가량(49.2%)의 비용으로 택배 서비스를 해오다 2008년부터 3년간 2870억원의 손실을 입었다. 서울광진우체국은 2007~2011년 택배물량 589만건을 원가보다 최대 54% 낮은 단가로 처리해 우체국 전체에 큰 손실을 끼쳤으나 소속 직원들은 1억1200만원의 포상금을 받았다.
우정사업본부는 2010년 총 예금액을 늘리기 위해 금융기관으로부터 이자가 높은 예금 4조9000억원을 유치했으나 불황에 자금을 빌려줄 곳을 찾지 못해 예금액이 거의 그대로 은행에 보관됐고, 결국 이자 858억원을 지불한 것으로 드러났다. 신규통장 개설 실적을 올리기 위해 사망한 친지 명의로 차명계좌 110개를 만든 직원 95명도 적발됐다.
우정사업본부 관계자는 이에 대해 "회계처리를 고의로 왜곡한 것은 아니다"며 "규정이 바뀌면서 실무자들이 잘 몰라 벌어진 일"이라고 했다.
우정사업본부 인력 4만3000명 중 72%인 3만1000명은 국가공무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