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10·26 서울시장 재보선에서 승리한 야권의 내년 대선 판도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야권은 이번 선거에서 보듯 대선 승리를 위해서는 한나라당과 1대1 구도를 만들어야 한다는 데 이견이 없는 상태다. 야권에선 이번 서울시장 선거에서 효과를 본 '다단계 단일화' 모델이 내년 대선에서도 적용될 가능성이 높다고 말하는 사람이 많다.

손학규·문재인·김두관 등 1단계 단일화

현재 가시권에 들어온 야권의 대선 주자는 크게 세 그룹으로 나눌 수 있다.

우선 민주당 내부 주자이다. 손학규 당대표, 정동영·정세균 최고위원 등이 여기 포함된다. 둘째는 '장외(場外)' 친노 그룹과 일부 시민사회가 만든 '혁신과 통합'의 문재인 노무현재단 이사장, 김두관 경남지사 등이 있다. 마지막으로는 안철수 서울대 융합과학기술대학원장이 정치권 밖의 강자로 버티고 있다.

1단계 단일화는 현재 야권이 진행 중인 통합 작업과 맞물려 진행될 가능성이 높다. 통합에 성공해 민주당과 '혁신과 통합' 등이 한 정당을 만들면 그 신당 후보를 뽑는 과정이 곧 첫 번째 후보 단일화 과정이 될 것이기 때문이다.

만약 통합 야당이 출범한다면 손 대표, 문 이사장, 김두관 지사 등이 1라운드에서 경쟁할 가능성이 높다. 정동영·정세균 최고위원도 출마 가능성이 크다.

현재 야권은 물밑에서 통합 논의를 활발히 진행 중이다. '혁신과 통합'의 상임대표를 맡고 있는 이해찬 전 총리는 최근 손 대표와 정동영·정세균 최고위원 등 민주당 대선 주자를 잇따라 만나 통합의 구체적 그림을 제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 전 총리가 내놓은 안은 민주당과 '기타 야권'이 5 대 5 지분으로 참여하되, 정파적 독립성을 유지하는 연합 정당이다. 기타 야권에는 민주노동당·진보신당·국민참여당 등 군소 야당, '혁신과 통합', 시민사회 등이 포함된다. 이 전 총리는 민노당 등 진보 정당까지 참여하는 '대통합'이 어려울 경우 그들의 지분을 비워둔 상태에서 나머지 세력끼리 우선 '중통합' 형식으로 합치자는 제안을 했고, 민주당 주자들도 대체로 긍정적인 반응을 보인 것으로 알려졌다.

안철수 원장과 2차 단일화?

야권이 통합 신당을 만드는 데 성공해 대선 후보 한 명을 낸다 해도 그가 곧 한나라당 후보와 맞설 야권 후보가 된다는 보장은 없다. 야권 잠재 주자 중 가장 높은 지지율을 보이고 있는 안 원장이 남아 있기 때문이다. 이번 서울시장 선거에서 새로운 변화를 바라는 젊은 세대의 표를 얻지 않고서는 대통령에 당선되기 어렵다는 사실이 입증됐고, 현재로선 그 '비밀의 문'을 여는 열쇠는 안 원장이 쥐고 있다. 박 시장도 지지율 5%에서 안 원장의 '블레싱(축복·blessing)'을 받고 곧바로 50%로 치고 올라갔다. 한나라당 나경원 후보와 치른 본선에서도 마찬가지였다.

박원순 서울시장(가운데)이 27일 국회 민주당 의원총회장을 찾아 조배숙 최고위원(왼쪽부터 시계 방향), 김진표 원내대표, 손학규 대표, 정동영 최고위원, 정세균 최고위원, 추미애 의원 등 민주당 의원들로부터 박수를 받고 있다.

문제는 안 원장 본인의 출마 여부다. 출마를 결심할 경우 방법은 대략 세 가지가 있다.

본인이 직접 신당을 만들거나 야권 신당에 합류하는 경우, 끝까지 무소속으로 남는 경우 등이다. 안 원장이 정치에 나서면 정당을 배경으로 할 수 있지만 그럴 땐 장외 주자로 누리던 각종 이점이 반감할 수 있다는 점에서 선택이 쉽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박원순 시장은 이날 당선 인사차 민주당을 방문한 자리에서 "일부에서 제3 정당을 말하는데 한 번도 생각해 본 적이 없다"고 말했다.

안 원장이 장외에 계속 남아 있으면 다른 대선 주자들은 그와 마지막 단일화 대결을 벌여야 한다. 안 원장이 출마하지 않는다고 해도 최소한 박 시장처럼 안 원장의 도움을 받아야 한다.

[키워드]

[10·26 재보선 후폭풍]

[안철수 정치적 행보]

[안철수 신당 창당]

[포토]

[박원순, '左학규·右재인'과 함께 토크쇼 유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