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정희 대통령 기념관이 오는 11월 사업 시작 12년 만에 빛을 볼 전망이다. 박정희대통령기념사업회측은 "서울 마포구 상암동에 짓는 기념도서관 건물 공사가 마무리 단계"라며 "조경(造景) 등 남은 공정을 끝내고 11월 15일 개관할 예정"이라고 1일 밝혔다.
이번에 문을 여는 박정희 대통령 기념관 공식 명칭은 '박정희기념·도서관'이다. 연면적 5260㎡에 3층 규모. 마포구 상암동 상암산 부근에 들어서며 1층은 전시실, 2층은 전시실과 일반 열람실, 3층은 특별자료 열람실로 꾸민다. 박 전 대통령 관련 각종 사료와 전자도서관, 중점 7대 분야 시책, 연도별 공적 등을 전시할 계획이다.
이번 박정희 기념관은 1999년 7월 발족한 '박정희대통령기념사업회'에서 맡아 지금에 이르렀다. 1997년 대선을 앞두고 당시 김대중 대통령 후보가 '역사와의 화해' 차원에서 공약한 게 결실을 본 것. 김 전 대통령이 1999년부터 3년간 국고보조금 208억원을 지원하면서 구체화했다. 기념사업회는 국고보조금에 국민 모금 500억원을 더해 사업을 진행하려 했으나 모금 실적이 당초 계획의 20.6%인 103억여원에 그치자 어려움에 빠졌다. 모금도 대부분 공기업과 경제 단체에서 걷어 '국민 모금'이란 취지가 퇴색되기도 했다.
노무현 정부 들어서 2005년 행정자치부(현 행정안전부)가 '기부금을 조달하지 못하면 보조금 교부 결정을 전부 혹은 일부 취소할 수 있다'는 규정에 따라 이를 회수하려 들었고 기념사업회측이 이에 불복, 소송을 제기했다. 4년간 법정 소송 끝에 대법원은 2009년 4월 기념사업회측 손을 들어줬고 중단됐던 공사는 2010년 3월 재개됐다. 사업 부진에 따른 책임은 정부에 있다는 설명이었다.
이 과정에서 2010년 5월 박 전 대통령 아들 박지만씨 등이 '기념사업회측이 국민 동의 없이 기념도서관을 짓겠다며 사업 내용을 변경했고, 기념관이 상암동 쓰레기매립장 근처'라는 이유로 공사 중지 가처분 신청을 냈으나 기각되기도 했다.
현재 기념관 외관 공사는 거의 끝났고 내부 마감 공사를 하는 중이다. 기념사업회측은 "그동안 민간 기부금이 많이 들어와 500억원을 채웠다"고 말했다.
서울시는 기념사업회측에 부지(14만8930㎡)를 무상 임대하는 대신 공공 성격이 강한 도서관으로 지어 달라고 요구했고, 10년 이상 기념사업회가 운영하고 건물을 시에 기부채납하도록 했다. 기념사업회측은 박정희 대통령 전시사업 외에 학술 세미나 등 연구사업도 지원할 방침이다. 기념사업회측은 "아직 구체적인 운영 계획이 확정된 것은 없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