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군인들 사이에서는 강제 전역을 위한 '친구 돕기'가 성행하면서 군 보위 당국에 비상이 걸렸습니다."

중국 길림성 훈춘 지역에 체류 중인 탈북자 최모씨가 지난 4일 북한인민해방전선(북민전)과의 전화 인터뷰에서 한 말이라고 대북 단파라디오 자유북한방송이 최근 보도한 내용이다. 북민전은 군인 출신 탈북자들의 모임이다.

이 방송에 따르면 2009년까지 강원도 2군단 15사단 공병대대에서 군 복무를 했다는 최씨는 “우리 부대에 2007년 봄에 입대한 평안북도 출신의 대원 2명이 있었다”면서 부대에 떠돌던 소문을 자세히 소개했다.

신의주시 출신인 조광철씨와 염주군이 고향인 김모씨는 입대도 같이하고, 신병교육도 함께 받아 친하게 지내는 사이였다. 성격이 밝은 조씨는 군무생활과 일상생활에서 다른 신병들에 비해 뛰어나 지휘관들도 칭찬을 아끼지 않았다.

하지만 국경도시에서 비교적 안락한 생활을 했던 조씨는 어려운 환경에서 계속 받은 군사훈련으로 점점 지쳐갔다. 입대 1년 후 조씨는 부대에서 낙오자가 됐고, 우울증 증세까지 보였다. 군 간부들은 조씨를 위병 근무에서 제외시키고 일거수일투족을 감시했다.

하지만 조씨는 어느 날 갑자기 밝은 모습으로 돌아왔고, 위병 근무도 다시 서게 됐다.

2008년 10월 어느 날 저녁, 위병소 근방에서 총성 한방이 울렸다. 위병 근무를 서던 초급병사(일병 계급) 김씨가 위병소에 나타난 조씨를 쏜 것이다. 조씨는 군인들에 의해 사단 군의소(의병대)로 이송되었고, 보초근무를 섰던 김씨는 부대 보위부 조사실로 불려갔다.

군은 조씨가 위병근무를 서는 친구를 생각해 식당에서 먹을 것을 갖고 보초소로 갔고, 김씨가 말없이 접근하는 사람에게 총을 발사한 것으로 결론 내렸다. 규정상 위병 근무자는 2차 경고를 하고, 3차로 공포탄을 쏜 후 조준 사격을 해야 했지만, 군 당국은 경험 없는 병사들이 실수한 것이라고 판단했다.

조씨는 군단 40호 병원으로 후송돼 수술을 받았다. 생명에는 지장이 없었지만, 총탄은 남성 생식기의 전립선을 관통했다. 몇 개월간 병원에서 지낸 조씨는 장애로 전역을 명령받았고, 부대원과 작별하기 위해 부대를 방문했다.

밤이 깊자 조씨와 김씨는 산에 올랐다. 조씨는 “쏘려면 바로 쏴야지, 난 너 때문에 남자일생이 끝났다”고 말했고, 김씨는 “난 네가 시켜서 쐈다”고 말했다. 전역을 하고 싶었던 조씨가 친구 김씨에게 자신의 하체에 총을 쏴달라고 부탁을 했고, 김씨는 위병 근무를 하면서 그의 부탁을 들어주었던 것이다.

당시 순찰을 하던 장교가 이들의 대화 내용을 들었고, 다음날 조씨와 김씨는 부대에서 사라졌다. 이후 부대에는 두 사람에 대한 소문이 널리 펴졌고, 힘들고 배고파하는 병사들 사이에서 “우리 친구 돕기 할까?”라는 말과 함께 “한방 갈겨 줘?”라는 말이 유행하기 시작했다고 한다.

최씨는 “과거 북한군 병사들은 병역에서 벗어나기 위해 도끼로 손가락을 자르고 스스로 발에 총을 쐈지만, 요즘 병사들은 친구들끼리 공모해 교묘한 방법을 찾는다”고 말했다고 이 방송은 전했다.

'사회주의 낙원' 북한… "그들의 지도자는 성 도착증 환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