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일 오전 서울 중구 환경재단 레이첼 카슨홀에서 열린 '구제역 사태, 정부 당국과 국민께 드리는 호소문'에 참석한 교수들이 기자회견을 갖고 있다.

구제역으로 소·돼지 등 약 350만 마리의 가축이 살(殺)처분돼 전국적으로 약 4500여곳 매몰지가 발생한 가운데, 교수·지식인 집단이 “살(殺)처분 위주 방역 정책을 폐기하고 축산환경을 밀집 사육 대신 소규모 친환경 사육 방식으로 변경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나섰다.

황성남 중앙대 교수 등은 9일 서울 중구 환경재단 사무실에서 김종철 ‘녹색평론’ 발행인·백도명 서울대 교수 등 220여명의 교수·지식인들이 서명한 ‘구제역 사태, 정부당국과 국민들께 드리는 호소문’을 발표했다.

이들은 호소문에서 “성체(成體) 동물의 경우 구제역 감염 사망률이 5% 이내로 매우 낮고 대부분 2주 안에 항체가 생겨 자연치유가 된다”며 “구제역 청정국 유지에 집착하여 전염병을 스스로 이겨낼 수 있는 동물들까지 모두 살처분하는 일은 즉각 중단돼야 한다”고 밝혔다.

이들은 또 “수조원의 예산을 투입해 가축을 생매장하는 현재의 방역 정책을 전면적으로 폐기하고 살처분에 드는 비용을 가축사육환경 개선에 투입해야 한다”며 “동물들의 면역력을 극도로 약화시키는 현재의 과밀 축산 환경을 친환경적 소규모 축산업이나 유기농으로 전환할 수 있도록 정부의 재정지원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황성남 중앙대 교수는 “지금처럼 구제역 감염 예방 목적으로 가축을 대거 살처분하는 것은 있어서는 안되는 일”이라며 “동물들이 자연적으로 면역력을 높일 수 있도록 축산환경을 개선해야 할 때”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