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1일 오후 KTX 탈선 사고가 나기 전 철도공사 직원들이 선로(線路) 전환기 수리작업에 나섰던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한국철도공사(코레일)가 문제를 감지하고도 제대로 대처하지 못한 것이 아니냐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13일 국토해양부와 코레일에 따르면 사고 당일인 11일 자정부터 새벽 4시 사이에 광명역 내 일직터널 내에 설치된 선로전환기에서 낡은 선 등이 발견돼 코레일은 수차례에 걸쳐 자체 보수 작업을 펼쳤다. 이 과정에서 코레일은 선로전환기 내 너트 등 부속품을 교체했지만 ‘선로 불일치 현상’이 재차 발생했다. 선로 불일치 현상은 선로에 있는 신호등과 선로 상태가 맞지 않아 발생하는 장애다.
이에 코레일 측은 오전 7시 30분쯤 다시 선로전환기에 대한 보수작업에 나섰다. 이상 현상의 원인을 정확하게 찾지 못한 코레일은 자동으로 신호를 전달하는 신호장치를 수동으로 전환했다. 열차 운행이 가능하도록 강제 조치한 것이다.
국토해양부 고위 관계자는 “선로전환기의 부속품을 교체한 첫 번째 코레일 직원과 나중에 투입된 다른 두 번째 직원이 제대로 조치를 못 한 것으로 파악됐다”면서 “사고열차인 KTX-산천 제224호 열차는 문제가 있는 이 선로전환기를 사용해 탈선사고가 났다”고 말했다.
앞선 지난 11일 1시5분쯤 부산발 KTX 열차는 경기도 광명역 전방 500m 지점 터널 안에서 궤도를 이탈해 약간 기울어진 채 멈춰 섰다. 당시 열차에는 승객 149명이 타고 있었다. 인명 피해는 없었다.
국토해양부 ‘철도사고조사위원회’는 현재 이날 사고 전에 이뤄졌던 선로전환기에 대한 보수작업이 적절했는지 등을 정밀조사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코레일 관계자는 “선로 전환기 외에 다른 이유로 탈선이 있을 수도 있어 정확한 사고 원인은 철도사고조사위의 공식 조사가 끝나야 알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코레일은 당초 ‘선로전환기 오작동’을 이번 사고 원인으로 추정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