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의 연평도 무력 도발을 계기로 서해 5도의 전력(戰力) 증강을 위한 국방예산 증액(增額)이 추진되고 있다. 특히 연평도 피격 뒤 "서해 5도에 세계최고의 장비를 갖추라"는 이명박 대통령의 지시에 따라 군 당국은 2600억원의 전력보강 예산을 국회에 요청했고, 국회는 이보다 더 확충된 전력증강 계획을 다시 짜오라고 요구하면서 서해 5도 지역의 전력 증강 수위가 관심이다.
국회 원유철 국방위원장(한나라당)은 26일 본지와의 인터뷰에서 "군 당국이 25일 2636억원의 추가 예산이 필요한 '서북도서 전력보강 계획'을 편성해 협의해왔는데, 군 방어진지와 주민 안전시설 등 이보다 대폭 증액된 전력증강이 필요하다고 판단해 새로운 안을 내라고 요구했다"고 말했다. 합참 등 군 당국은 K-9 자주포 연평도·백령도 추가배치에 820억원, 대(對)포병레이더 추가배치에 370억원, 정밀타격유도무기 배치에 820억원 등이 필요하다는 계획을 25일 보고했었다. 이 밖에 도발 탐지 기능 보강을 위한 음향탐지레이더, 전술비행선, 무인항공기(UAV) 도입과 K-55 자주포 성능 개량을 위한 예산도 포함됐다. 원 위원장은 그러나 "북한의 무력도발을 막아내기에 이 정도 증액으로는 턱도 없다"며 "서해 5도를 철옹성 같은 요새로 만들려면 추경(追更) 예산 편성까지 각오하고 전력 보강 예산을 대폭 증액해야 한다"고 했다. 국방위 민주당측 간사인 신학용 의원도 "예산 증액에 공감한다"고 말했다.
군 주변에선 국회의 예산증액 요구와 관련, 원래 예산보다 수천억원 안팎의 국방예산 증액 가능성이 거론되고 있다. 정부는 내년도 국방예산(31조2795억원)을 올해(29조5627억원)보다 5.8% 증액했고, 이 중 북한의 위협에 대비한 '핵심전력' 확충비용으로 K-9 자주포 신규 구매예산 4850억원(100여대분) 등 5조9426억원을 배정했었다.
군사 전문가들은 서해 5도 지역에서의 포병 화력전에서 우리 군이 북한군에 비해 열세인 만큼 정찰감시 장비를 대폭 확충하고 정밀타격무기를 보강해야 한다고 말한다. '세계 최고의 장비'로는 적 감시정찰은 물론 공격 역할까지 할 수 있는 미군의 '프레데터' 무인항공기(UAV), 함대지(艦對地) 미사일 등 정밀타격무기, 무인 전투함정 등이 거론된다. 미 해군이 함정 탑재용으로 개발 중인 RQ-8 '파이어 스카우트'에도 우리 군은 관심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파이어 스카우트는 헬기처럼 수직 이착륙을 할 수 있어 함정에 탑재할 수 있고 적 소형함정이나 지상기지도 공격할 수 있다.
북한 해안포 동굴진지에 대한 정밀타격이 가능한 이스라엘의 '스파이크 NLOS' 미사일도 최고무기 중 하나로 꼽힌다. 북한 서해안부대의 움직임을 24시간 감시할 수 있는 전술비행선 도입도 거론되는데, 미국에서 개발 중인 전술비행선 'JLENS'는 첨단 레이더를 장착해 날아오는 항공기는 물론 미사일, 지상 장비의 움직임도 세밀하게 감시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