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
먼저 2학기 때 학교에서 배울 과학 교과서 내용을 꼼꼼하게 정독해 전체적인 내용 흐름을 파악해야 한다. 이때, 구체적인 학습 목표를 세우고, 월간계획, 주간계획, 일일계획으로 세분화하면서 학습 분량을 나눠 학습하도록 한다.
또한, 1학기에 학습한 교과 단원 또는 2학기에 학습할 교과 단원과 연관된 영역을 선정해 관련된 책을 읽고 관련 지식을 넓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초등 4학년의 경우 첫째 주는 식물의 한살이 및 식물의 생김새, 둘째 주는 지층과 화석, 셋째 주는 화산과 지진 등 일정 기간 주제를 정하고 전문 분야와 관련된 과학 서적과 잡지 등을 통해 교과 관련 지식을 접하자.
중위권 학생들은 2학기 과학 교과서에 나오는 주제와 관련된 박물관, 전시관, 생태공원 등을 방문해 관련 개념을 직접 체험함으로써 과학 교과에 대해 흥미를 갖고 2학기 내용을 파악하도록 한다. 체험학습 후에는 체험학습 노트를 만들어 체험학습에서 받은 교과 관련 부분이나 자신이 좋아하는 분야 관련 자료를 스크랩하고 직접 적어보도록 한다. 또한, 2학기 교과서에 나오는 주제와 관련된 간단한 실험을 직접 설계하고 실험을 수행하고 나서 탐구보고서를 작성하면서 과학 개념을 익히도록 한다.
하위권 학생들은 교과서에 수록된 실험 중 가정에서 쉽게 할 수 있는 것을 선정해 부모님과 함께 직접 실험을 하는 시간을 가져보는 것이 좋다. 실험 후에는 실험 관련 내용을 일기에 적어보면서 과학에 대해 흥미와 호기심을 갖고 과학에 대한 자신감을 키운다.
▲사회
상위권 학생들은 학습 내용과 연관 지어 그림, 도표, 사진 등을 익혀두는 것이 좋다. 지리적 특징이나 사회적인 현상을 시각적으로 제시한 자료를 해석하는 능력을 물음은 전통적으로 난도가 높은 유형이다. 교과서에 나오는 자료를 이해하고 분석하는 능력을 갖춤으로써 생소한 자료들이 출제되더라도 민첩하게 대처할 수 있어야 한다. 다양한 자료들은 기존의 자료에서 일정부분 변형된 것이고, 교과서의 교과 개념을 이해하고 적용하는 능력을 평가하고자 하는 것이기 때문에 자료와 교과 내용의 연관성을 분석하는 훈련을 충분히 한다면 어떤 변형된 자료를 제시해도 문제를 잘 풀어나갈 수 있을 것이다.
사회 교과 개념은 우리 주변의 현상들을 분석해 놓은 용어다. 다소 추상적인 개념도 우리 주변에서 접할 수 있는 모습을 사회 교과만의 언어로 설명해 놓은 것이라고 이해한다면 그리 어렵지 않을 것이다. 따라서 교과 내용과 우리 주변에서 볼 수 있는 현상들을 접목시키는 연습을 하는 것이 중요하다. 가령 초등학교 3학년 2학기에 배우는 '고장의 중심지'는 백화점, 기차역, 문화 센터, 시청 등 고장 사람들의 경제, 교통, 문화, 행정 등 생활 전반을 도와주는 곳을 일컫는 사회 교과 개념이다. 고장의 중심지 역할, 특징, 사람들이 고장의 중심지로 가는 이유 등을 통해 사람들의 생활 모습을 알고자 하는 것이 '고장의 중심지'라는 교과 개념의 목표이므로 이에 맞게 주변 현상에 관심을 두는 것이 중요하다.
사회는 개념을 이해하지 않으면 문제를 제대로 풀 수 없다. 그러므로 하위권 학생들의 경우, 우선 개념 이해에 주력해야 한다. 교과 내용의 핵심은 교과서 목차와 소제목에 다 나와 있다. 먼저, 교과서 목차를 정독하고 내용의 흐름을 파악하면, 구체적이고 세부적인 사실들이 어떠한 맥락에 들어가 있는지 알 수 있다. 전체적인 구조를 잡고 세부적인 교과 내용을 이해하는 과정을 통해 개념의 뜻을 이해하고 마인드맵이나 개념도를 그리는 것도 좋다. 교과 개념과 연관된 대표적인 사례나 도표, 그림들을 알아두면 더욱 도움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