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몽준 한나라당 대표가 18일 서울광장에서 열린 5.18 민주화운동 30주년 서울기념식에 형형색색의 꽃으로 만든 축하용 화환을 보냈다가 빈축을 샀다.

뒤늦게 이 소식을 전해들은 정 대표측은 부랴부랴 흰 국화로 만든 화환으로 교체했다. 한나라당 관계자는 "화환을 의뢰한 실무진과 꽃집 사이의 의사소통 과정에서 문제가 생겨 일어난 해프닝"이라며 "그 내용을 전해듣고 깜짝 놀라 곧바로 꽃집에 항의해 조화로 서둘러 바꿨다"고 해명했다.

정몽준 한나라당 대표가 18일 서울광장에서 열린 5.18 민주화운동 30주년 서울기념식에 축하용 화환을 보냈다가 흰 국화로 만든 화환으로 교체했다.

이날 광주광역시의 국립 5.18 민주묘지에서 열린 기념식에서는 행사곡 두 곡이 논란이 됐다. 행사를 주관한 국가보훈처가 그동안 추모곡으로 쓰이던 '임을 위한 행진곡' 제창을 식순으로 제외해 5.18 관련 단체의 반발을 샀다. 때문에 기념식 도중 유족회, 부상자회, 구속부상자회 등 5.18 관련 단체 회원들이 들어와 '임을 위한 행진곡'을 부르고 구호를 외치기도 했다. '임을 위한 행진곡'은 식전에 연주됐다.

정운찬 총리가 퇴장할 때 연주하기로 했던 민요 '방아타령'도 구설수에 올랐다. 방아타령은 "노자 좋구나 오초동남 너른 물에~"로 시작하는 민요다. 추모행사에서 흥겨운 민요를 연주하는 것이 부적절하다는 비판이 제기되자 보훈처는 이를 민중가요인 '마른 잎 다시 살아나'로 긴급 대체했다. 정 총리가 입장할 때는 가곡 '금강산'이 연주됐다.

국립 5.18 민주묘지 인근 구묘역에서는 시민단체 등으로 구성된 기념행사위원회의 별도의 기념식이 열렸다. 행사장에는 강운태 광주시장 후보 등 지역 민주당 의원과 강기갑 대표 등 민노당 관계자 등 500여명이 참석했다. 그러나 국가보훈처 주관으로 열린 공식 기념식에 참석하지 않은 일부 민주당 의원은 소개나 자리배정을 받지 못해 마찰을 빚었다. 강기정 의원은 행사위 관계자들에게 "왜 자리도 주지 않느냐"며 행사위 관계자에게 항의하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