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흐느끼며) 뭐라고 말씀을 드리겠습니까…. 정말 미안합니다. 송구스럽습니다."
'천안함 침몰 사고' 실종자인 정범구 상병의 할머니 이상옥씨가 해군 특수전여단(UDT) 소속 고(故) 한주호 준위의 부인 김말순(56)씨 오른손을 꼭 잡고 머리를 숙였다. 오열하던 김씨가 흐느끼다 겨우 입을 뗐다. "이건 아닙니다. 우리 금쪽같은 내 새끼 아버지인데…." 빈소엔 가족들 울음소리와 카메라 셔터 소리뿐이었다.
사고 6일째인 31일 오전, 경기도 평택 해군2함대에 머물며 120시간 넘게 생사를 알 수 없는 가족 소식을 기다리던 실종자 가족들이 한 준위의 빈소를 찾았다. 이날 아침 일찍 평택을 출발해 성남 국군수도병원에 도착한 실종자 가족들은 이창기 원사의 형 이성기씨, 김종헌 중사의 작은아버지 김장준씨와 김 중사의 이모·이모부, 정범구 상병의 할머니 이상옥씨와 이모할머니 이상래씨, 이모부 김종수씨 등 7명이다. 병원까지 버스를 타고 온 실종자 가족들은 후배 군인들을 구하기 위해 사지(死地)로 뛰어든 한 준위의 유가족을 위로했다.
오전 10시 40분 장례식장에 들어서기 전부터 실종자 가족 7명은 흐느끼고 있었다. 이들의 울음소리가 빈소로 흘러들어오기 시작했다. 그때 김말순씨의 통곡이 시작됐다. "아이고, 아이고, 아이고…." 실종자 가족들은 두 손을 가지런히 모은 채 신발을 벗고 한 준위 영정 앞에 섰다. 녹색 정복(正服)을 입은 한 준위의 아들 한상기(25) 중위도 포갠 두 손을 앞으로 모았다. 실종자와 순직자 가족 모두 최대한 예우를 갖췄다. 김씨의 통곡 속에 헌화와 묵념이 이어졌다. 이때까지도 눈물을 꾹 참던 아들 한 중위가 무너지기 시작한 건 실종자 가족들이 악수를 하러 자신을 향해 걸음을 옮길 때였다. 침통한 얼굴로 조문객을 쳐다보던 한 중위 얼굴이 한순간 슬픔으로 일그러지기 시작했다. 그리곤 이내 울음을 터뜨렸다.
이창기 원사의 형 이성기씨는 조문을 마친 뒤 "대한민국 국민으로서 아까운 분을 잃었습니다. 유가족에게 뭐라고 드릴 말씀이 없습니다"라고 말했다. 정범구 상병의 이모할머니 이상래씨는 "(처음 한 준위 순직 소식을 들었을 때) 너무 가슴이 아팠다"고 짧게 말한 뒤 더 이상 말을 잇지 못했다.
정 상병의 할머니 이상옥씨는 빈소를 나서며 "손자가 물속에 있는데 할머니는 살겠다고 아침을 먹었어요. 밥을 먹고 배고프다고 밥을 먹고…"라며 자책하기도 했다. 실종자 가족들은 조문을 마친 뒤 곧바로 평택으로 돌아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