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이 고대에 한반도 남부를 지배했다는 임나일본부설(任那日本府說)이 양국 학자들에 의해 학문적으로 공식 폐기됐다.

본지가 22일 입수한 제2기 한·일역사공동연구위원회 최종 보고서 요약본에 따르면, 양국 학자들은 서기 4~6세기 왜(倭)가 가야에 군대를 파견해 정치기관인 '임나일본부'를 세웠다는 설이 사실이 아니라는 데 합의했다.

식민사관의 하나로 일제의 한국 침략을 정당화하는 역할을 해 왔던 임나일본부설은 일본 학계에서도 많은 비판을 받아 왔으나, 최근까지 후소샤(扶桑社) 등 일부 역사 교과서에 마치 정설인 것처럼 실렸다.

양국 정부 지원으로 지난 2007년 이후 공동 연구를 계속해온 2기 한·일역사공동위는 이같은 내용의 최종 보고서를 23일 양국 정부에 제출한다.

양국 학자들은 ▲왜구(倭寇)의 주요 구성원이 조선인이 아니라 일본인이었으며 ▲일본의 벼농사와 금속문화가 한반도에서 전래했다는 사실 등에 합의하는 성과를 거두기도 했다.

그러나 ▲조선통신사 문제 ▲을사늑약의 성격 ▲일제 강점기 노동자 강제동원 등 근·현대사 부분에 대해서는 커다란 시각차를 보였다. 특히 독도, 종군위안부(성노예), 한일강제병합의 불법성 등 민감한 문제에 대해서는 논의하지 않아 논란이 예상된다.

공동위 보고서는 양국 역사 교과서 집필자가 '참고자료'로 활용하게 돼 있으나 일본측의 교과서 왜곡을 막을 수 있는 근본적인 장치가 마련되지 않았다는 점에서 한계를 드러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