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권 주류가 설 연휴 직후 한나라당 의원총회 소집을 요구하는 등 세종시 당론 변경 절차에 착수했다. 이명박 대통령이 지난 12일 당 지도부를 만나 "민주적 방법으로 당론을 결정하라"고 주문한 데 따른 것인데, 친박 진영은 "방향을 정해놓고 하는 의총은 필요 없다"며 반발했고, 민주당 등 야당은 세종시 관련 국정조사를 요구하는 등 맞불 작전을 펼 계획이어서 향후 정치권에 여여, 여야 간 갈등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여권 주류 핵심인 정두언 의원은 15일 "이번 주 중 안상수 원내대표에게 (당론 변경을 위한) 의원총회 소집을 요구할 것"이라고 말했다. 같은 친이계 정태근 의원도 "17~18일쯤 의총을 열어야 한다"며 "세종시 수정을 위해서는 적어도 3~4차례 당내 토론을 거쳐야 하는데 이번 주 중 논의를 시작해야 3월 중 당론 변경이 가능하다"고 했다. 이에 대해 안 원내대표는 "세종시 해법을 마련하는 자리가 필요하다. 의총 소집을 거부할 수는 없지 않으냐"며 수용 의사를 밝혔다.

청와대도 이 같은 움직임을 뒷받침했다. 청와대 관계자는 15일 "3월 초쯤 국무회의 의결을 거쳐 세종시 관련 법안을 국회에 제출한다는 방침"이라며 "법안 제출과 당론 변경은 별개의 절차인 만큼 세종시 수정을 위한 당내 논의는 빠르면 빠를수록 좋다"고 했다.

반면 친박 진영은 "이 대통령이 토론하라고 한 것은 상식에 맞지 않는다. 5년 전 결론 낸 것을 다시 논의하는 것 자체가 서로 감정의 골만 드러낼 것"(이성헌 의원), "원점으로 돌아가 처음부터 갈등을 다시 시작하자는 얘기냐"(구상찬 의원)며 의총 소집에 응하지 않을 태세다. 일부 친박 의원들은 주류를 향해 "대통령 말 한마디에 춤추지 말라"고도 했다. 현재 한나라당 당론은 박근혜 전 대표 당시 만들었던 세종시 '원안'이다. 이를 변경하려면 재적의원(169명) 3분의 2(113명)의 동의가 필요하다.

한편 민주당과 자유선진당, 민주노동당 등 야당은 "세종시 유치기업을 둘러싼 정경유착, 국무총리의 정략적 임명, 세종시 수정집회 군중 동원 등의 의혹이 있다"며 이에 대한 국정조사 요구서를 16일 국회에 제출키로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