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 구미시에 사는 준호(가명·14)가 인터넷 중독의 늪에 빠진 건 4년 전부터다. 교통사고로 병원에 입원했던 초등학교 4학년 때 컴퓨터를 시작한 준호는 점차 난폭한 게임에 빠져들어 헤어날 줄을 몰랐다.
일상적인 의사소통이 안될 지경까지 갔다. 누가 "밥 먹었니?" "학교에서는 재미있었니?"라고 물어도 준호는 '아바타' '아이템' 등 생소한 단어를 늘어놓으며 동문서답했다. 준호의 어머니 임모(39)씨는 "우리 가족에게 그런 일이 일어날 줄은 꿈에도 몰랐다"고 말했다.
◆100명 중 14명이 중독
'우리 아이는 아니겠지'라고 넘기기 쉽지만 인터넷을 이용하는 9~19세 청소년의 14.3%(103만5000여명)는 인터넷 중독으로 일상생활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한국정보문화진흥원의 2008년 조사에 따르면, 9~19세의 약 2.3%(16만8000여명)가 치료가 필요한 인터넷 중독 고위험군이며 12%(86만7000여명)는 상담이 필요한 잠재 위험군이라는 결과가 나왔다.
보건복지가족부가 지난해 초등학교 4학년을 대상으로 한 전수(全數) 조사에서는, 2%(1만2000여명)가 고위험군이고, 3.8%(2만2000여명)가 잠재위험군인 것으로 나타나 인터넷 중독이 저연령화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성윤숙 연구위원은 "실상은 이보다 훨씬 심각할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준호는 학교에서도 친구들과 싸우거나 유리창을 깨고, 수업 시간에 운동장에 나가 휴대전화로 게임을 하는 등 문제가 끊이지 않았다. 담임선생님마저 특수학교로 전학을 권유하며 아이를 포기하는 지경까지 갔다.
◆저소득층 중독률이 더 높아
인터넷 중독은 특히 저소득층·방임 아동에게서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 복지부 김성벽 아동청소년보호과장은 "저소득층, 맞벌이나 한부모 가정 등 가정에서 아이의 생활습관을 면밀히 살피기 어려운 경우 일반 가정보다 인터넷 중독률이 2배 이상 높은 것으로 파악된다"고 말했다.
광주광역시에 사는 민준(가명·16)이도 인터넷 중독으로 가출을 일삼았다. 초등학교 때 워드프로세서 1급 자격증을 따는 등 컴퓨터에 소질을 보였던 아이는 점차 폭력적인 게임에 빠졌다. 아버지(48)는 시골(함평)에서 홀로 농사를 짓고 있던 터라, 어머니 혼자 힘으로는 민준이를 통제하기가 어려웠다.
가출한 민준이는 낮에는 PC방에서 게임하고, 밤에는 남의 집 계단 앞에서 쪽잠을 잤다. 아버지는 자신을 탓하게 됐다. "어릴 적에 엄하게 키운다고 매를 많이 들었더니 애가 항상 주눅이 들어 있었던 것 같아요. 먹고사는 게 바빠 아이가 게임에 빠진 것도 뒤늦게 알았고요."
민준이의 부모는 한국청소년상담원·복지부가 운영하는 '레스큐(rescue) 스쿨'에서 희망을 보게 됐다. 지난 여름방학에 11박 12일 동안 합숙치료를 받는 인터넷 중독 치료과정 '인터넷 레스큐 스쿨'에 참가한 뒤 눈에 띄는 변화를 보였다.
준호도 레스큐스쿨에 다녀온 뒤엔 계획표를 짜고 일과를 실천할 수 있게 됐다. 어머니 임씨는 "지금도 하루에 1시간 정도는 게임을 하지만, 계획대로 정해진 시간만 하고 나머지 시간에는 자기 일과를 성실히 한다"고 했다. 가족들과도 정상적인 의사소통이 가능해졌다.
이형초 인터넷중독연구소장은 "정부에서 '교육격차'를 줄이겠다며 저소득층 10만명 이상에게 컴퓨터와 통신비 등을 지원해줬는데, 가정에서 통제가 어려운 이 아이들이 오히려 인터넷에 중독되는 현상이 나타났다"고 지적했다.
◆아이와 자주 대화하라
인터넷 중독을 조기발견하기 위해 복지부는 올해 초등학교 4학년과 중학교 1학년(약 127만명) 전체에 대해 인터넷 중독 검사를 실시하고, 내년부터는 초등4·중1·고1의 3개 학년에 대해 매년 실시하기로 했다.
검사를 통해 치료가 필요하다고 진단되면 지역 청소년상담지원센터에서 상담을 받게 하고, 고위험군은 정신보건센터(153개)와 협력병원(159개)을 연계해 치료를 받게 된다.
성윤숙 연구위원은 "방임적이거나 반대로 권위적·독재 스타일의 부모 아래에 있는 아이들이 인터넷 중독에 노출되기가 더 쉽다"며 "부모가 아이와 대화를 자주 하고 '일관된' 양육 태도를 보여야 한다"고 말했다.
이형초 소장은 "인터넷 중독 청소년들은 우울증·ADHD(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등의 질환을 갖는 경우도 많다"며 "아이가 컴퓨터를 처음 시작할 때부터 사용시간 등 규칙을 정하고, 방문한 사이트의 경로를 파악하거나 유해 사이트를 차단할 수 있는 '아이지킴이 프로그램' 등의 도움을 받는 것이 좋다"고 말했다.
'아이지킴이' 프로그램들
e클린(www.eclean.or.kr)
엑스키퍼(www.xkeeper.com)
해피모션(www.happymotion.co.kr)
맘아이(www.momi.co.kr)
아이보호(safety.ieboho.com)
※괄호 안은 다운받을 수 있는 사이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