콜레라는 19세기 지구상에서 가장 치명적인 전염병이었다. 어디든 느닷없이 다가가 삽시간에 온 마을을 휩쓸어 버렸다. 높은 전염률과 치사율에 비해 예방과 치료방법이 없어서 인류의 공포감은 극에 달했다. 19세기 후반~20세기 초 우리나라도 예외는 아니었다. 콜레라가 처음 침입했을 때는 괴질(怪疾)이라 불렀다. 그러다 차차 '쥣통'이라 했다. 또한 호랑이가 살점을 찢어내는 것과 같은 고통을 준다는 뜻으로 호열자(虎列刺)라 불렀다.
'호열자는 본래 한국에서 쥣통(痛)이라 칭하던 괴질이니, 이 병에 걸리면 완연히 쥐 같은 물건이 사지(四肢)로 올라오고 내려가는 것 같으며, 운신도 임의로 못하고 뼈만 남아 죽는 고로 쥣통이라 하였다. 이 병이 한 집에 들어가면 한 집의 사람이 거의 다 죽고, 이 고을에서 저 고을로 칡덩굴같이 뻗어 가며 일거에 일어난 불과 같이 퍼져간다.'(대한매일신보 1909.9.24. 논설 '감회를 기록함')
정치적으로 암울하기만 하던 1909년 7월 말 부산과 청주에서 처음 콜레라 환자가 나타난다. 이어 8월 중순 인천·신의주로 번지고, 9월 초순에는 서울까지 올라온다. 통감부 외사과 직원, 친위대 군인, 광무학교 학생, 창덕궁 인부, 일본인 순사, 일본인 관광객 등 너나 할 것 없이 차례로 쓰러졌다. 그해 9월 26일까지 전국에서 872명의 환자가 발생해 503명이 숨졌다.
사람들은 공포에 휩싸였다. 관청 업무시간은 단축되고 학교는 휴교에 들어갔다. 각종 토목공사도 중단되었고 시장 상점들은 문을 닫았다. 콜레라를 피해 고향으로 가려는 사람들로 기차역은 북새통을 이루었다. 그 와중에 매국노들의 처신이 빈축을 샀다.
'총리대신 이완용은 거액을 들여 새 집을 매입했는데 괴질이 무서워 이사를 미루었고, 무당을 불러 굿판을 벌였다더라.'(대한매일신보 1909.10.1)
'내부대신 박제순은 괴질을 피하기 위해 손님을 받지 않았는데, 일본인인 경우는 즉시 만난다더라.'(대한매일신보 1909.10.5)
불행 중 다행으로 10월 들어 환자는 크게 줄었고, 12월경 콜레라는 소리 소문 없이 사라졌다. 관공서와 학교, 시장도 제 모습을 되찾았다. 1910년 1월 집계 결과, 1909년 7~12월 콜레라 감염자는 1514명, 그중 사망자는 1262명이었다. 이 피해는 1886·1895년 두 차례 괴질로 수만명이 숨진 것에 비하면 적은 편이다. 통감부의 강압적 방역이 한몫을 했다. 일본 순사와 헌병들은 호구조사, 환자격리, 통행차단 조치를 취하고 이를 어기면 구류와 벌금형에 처했다.
희생자가 적었던 또 다른 이유는 한국인의 높아진 위생의식이다. 대한제국 정부와 의학교는 '호열자예방주의서'를 보급하는 등 보건위생사업을 펼쳤고 개화 지식인들과 김익남, 유병필, 김필순 등 의사들도 국민계몽에 팔을 걷어붙였다. '호열자' 극복의 숨은 공로자들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