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연차 리스트'의 수사를 둘러싸고 청와대와 검찰 간에 '핫 라인'이 가동되고 있는 것이 아니냐는 관측이 정치권에서 제기되고 있다.
이명박 대통령은 작년 11월 한상률 국세청장으로부터 국세청판(版) '박연차 리스트'를 보고받은 뒤 이미 그 폭발력을 가늠했으며, 이후 검찰 수사에서도 청와대의 의중이 반영되는 '흔적'이 있다는 것이다.
정치권 인사들은 그 근거로, 최근 검찰 수사가 여야(與野) 균형을 철저히 고려한 채 주도면밀하게 진행 중인 상황을 제시했다.
이달 들어 본격화된 검찰 수사는 구(舊) 여권 인사가 한번 소환되면 이어 현(現) 여권 인사가 불려가는 식으로 이뤄졌다.
이 과정에서 당초 사법처리 순서에서 후순위로 밀렸던 인사의 소환이 앞당겨지는 등 조정이 이뤄졌던 것으로 전해졌다.
아울러 지난 주말쯤에는 급박하게 돌아가는 이번 수사와 관련해 권력 핵심부의 '의사'가 현 정권 고위 인사를 통해 검찰에 전달된 것으로 알려져 그 내용에 대해 궁금증을 낳고 있다.
이를 놓고 여권 핵심인사는 의미심장한 말을 했다. 그는 "중요한 고비에서는 검찰 자체 판단 외에 청와대의 뜻도 반영됐을 것"이라며 "정권 핵심부에서 나오는 '사인'이 검찰에 전달되는 사적(私的) 경로가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고 전했다. 다만 이 인사는 "그렇다고 '수사를 하라 마라'는 차원은 아니며, '리스트'에 올랐으면 (사법처리에) 예외가 없다는 원칙에는 변함이 없다"고 했다.
한편, 청와대는 이번 수사와 철저히 거리를 두는 자세를 유지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