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은 G20 국가들의 올해와 내년 경기부양규모를 국내총생산(GDP)의 2%까지 끌어올리도록 촉구했다.
또 국제통화기금(IMF)이 사용할 수 있는 긴급 구제자금을 5000억달러로 늘리고 이를 위해 미국 분담금을 현재 100억달러에서 1000억달러로 증액하겠다고 밝혔다.
이는 이번 주말로 예정된 G20 재무장관 회담과 다음 달 2일 정상회담을 앞두고 미국이 이례적으로 구체적인 목표를 제시한 것이어서 주목된다. 미국은 통상 국제회의를 앞두고 구체적인 달성 목표를 공개적으로 제시하진 않았다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은 12일 보도했다.
티머시 가이트너(Geithner) 미 재무장관은 11일 "우리의 운명은 여타 세계의 운명과 밀접히 연결돼 있다"며 "세계가 우리와 함께 움직이도록 하지 않으면 미국은 더 깊고 오래 지속되는 경기침체를 맞을 것"이라고 말했다.
버락 오바마 대통령도 이날 "미국이 비록 공격적인 경기부양책을 취하고 있지만, 다른 나라들도 같은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이 중요하다"며 "G20 회담에서 경제를 '점프 스타트(jump-start)'시키기 위한 조율된 행동이 있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가이트너 장관의 발언은 경기부양에 소극적인 유럽 국가들을 겨냥했다. 미국은 올해와 내년 도로·교량 등 사회간접자본건설과 감세(減稅) 등에 GDP의 6%에 해당되는 자금을 투입하지만, 독일은 같은 기간 중 2.6%, 유로 국가 전체 평균으론 1~1.5%에 그치고 있다.
그러나 독일은 역사적인 경험 탓에 인플레이션을 우려해 적자 재정을 통한 경기 부양에 소극적이며, 다른 유럽 국가들도 상대적으로 사회안전망이 발달해 미국처럼 경기부양 요구가 절실하지 않다.
가이트너 장관은 국제통화기금(IMF)이 세계 금융위기를 해결하는 기관으로 기능할 수 있도록 재원을 대폭 확충하는 방안을 구체적으로 제시했다. IMF가 위기를 맞은 국가에 빌려주는 긴급자금 한도를 현재 500억달러에서 5000억달러로 늘리고 이 가운데 1000억달러는 미국이 부담하고 나머지는 유럽·일본·사우디아라비아·중국 등이 분담하는 계획이다.
가이트너 장관은 또 G20 회담을 앞두고 미국과 유럽 간 이견의 폭을 좁히는 노력의 일환으로 유럽국가들의 주요 관심사인 금융규제 개혁 방안도 의제에 포함시켜 다루겠다는 뜻을 분명히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