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일 한·미 쇠고기 협상이 타결됐다는 소식이 전해지자 농민·한우 관련 단체들은 "한우 생산기반 자체가 무너질 것"이라며 반발하고 나섰다.
전국한우협회는 이날을 '국민 먹거리 안전성 국치일(國恥日)'로 규정한다며 "미국 정부 뜻에 따라 이명박 대통령의 방미(訪美) 선물로 쇠고기 시장을 개방한 것은 국민 먹거리 주권을 포기한 것과 같다"고 비난했다.
한우협회는 "20만 전체 한우 농가들이 대규모 집회와 함께 소비자단체와 연대해 미국 쇠고기 불매운동을 펼쳐가겠다"고 밝혔다.
'민주사회를 위한 변호사 모임'(민변)은 성명을 내고 "미국산 쇠고기 전면 수입 개방은 국민 생명을 포기하는 조치"라며 농수산식품부에 쇠고기 위생조건 개정 합의문에 대해 정보공개를 청구했다.
경남 산청에서 한우 200여 마리를 키우는 농민 유낙형씨는 "한우 농가는 다 죽으라는 얘기다. 줄도산은 불 보듯 뻔하다"고 말했다. 경북 경주한우협회 남호진 국장은 "농가들이 모여 대책회의를 하고 있지만 답이 안 나온다"고 말했다.
전남 장성의 한우 농가 강성열씨는 "시장이 열렸으니 좋은 육질로 고급화를 통해 경쟁력을 키우는 수밖에 도리가 없다"고 말했다.
녹색소비자연대 조윤미 본부장은 "미국 쇠고기 안전에 대한 어떠한 검증도 없이 시장을 연 것은 국민건강보다 정치적 고려에 따른 것으로 볼 수밖에 없다"고 주장했다.
반면 '바른사회시민연대'는 성명서를 통해 "서민 식탁에서 쇠고기를 구경하기 힘들 만큼 한우 가격은 천정부지로 높다"며 "소비자 후생차원에서 미국산 쇠고기 협상 타결은 합리적으로 판단하는 소비자에게 선택할 수 있는 기회와 권리를 부여하는 것"이라고 평가했다.
정인교 인하대 교수(경제학)는 "미국 쇠고기를 먹는다고 바로 광우병에 걸리는 것처럼 호도되고 있는데 여기엔 반미적 시각이 많다"며 "소비자를 위해서도 시장을 여는 게 맞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