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똑똑하지만 고집 세고 제멋대로인 컴퓨터 엔지니어들이 다른 회사로 떠나지 않고 회사에 눌러앉아 있도록 음식으로 유혹하는 게 제 임무였어요. 공짜 맥주, 바비큐, 럼이 구글 신화의 연료가 된 셈이죠."

창업 10년 만에 1000억파운드(약 198조원)의 가치를 지닌 기업으로 성장함으로써 미국 정보기술(IT)업계의 또 다른 신화로 우뚝선 구글(Google)의 성공은 기술 혁신보다는 "사원들에게 무료로 제공한 음식의 덕"이라고 전직 구글 전속 요리사가 밝혔다. 24일 영국 일간 텔레그래프 인터넷판에 따르면 구글 최초의 전속 요리사였던 찰리 아이어스(Charlie Ayers ·42·사진)는 '현명하게 먹는 법: 구글을 먹여 살린 요리법'이라는 책을 통해 회사의 식단이 성장에 어떻게 기여했는지를 밝혀 화제가 되고 있다.

아이어스는 "'위(胃)의 힘으로 진군했다'는 나폴레옹 군대처럼 구글이라는 인터넷 거인 역시 먹는 힘으로 일한다는 소박한 믿음으로 출발했다"고 표현했다.

저자 아이어스는 세르게이 브린과 래리 페이지가 구글을 창업한 1998년 고용됐다. "두 창업자는 회사 직원들에게 한 푼도 안 받고 식사를 제공하겠다는 것이었어요. 난 그들에게 '정신 나갔느냐'고 했지만 그들은 '당신은 음식을 잘 만들어서 우리 직원들이 엄청 일찍 출근하고 엄청 늦게 퇴근하도록 만들면 된다'고 말했죠."

아이어스는 구글에서 일하며 '구글러(googler)'들의 식단을 확 바꿨다. 이 정보기술업계의 젊은 인재들이 밥 먹듯 하는 야근 때엔 공짜 맥주를 주고, 2주에 한 번은 바비큐를 제공했으며, 아침·점심도 특별한 메뉴로 짜서 직원들이 오후에 속이 출출해 피자를 찾는 일 없이 일에 열중할 수 있도록 한 것. 현재 구글은 전속 요리사를 무려 150명이나 고용하고 있으며 약 28만㎡ 규모의 구글플렉스에서 5000여명의 직원들에게 하루 평균 7000인분의 식사를 제공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