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도 삼성그룹의 비자금 의혹사건에 대해 예의주시하기 시작했다.

천호선 청와대 대변인은 5일 오후 정례브리핑에서 "(현재 삼성 비자금 사건에 대해) 청와대가 정리할 수 있는 상황이 아니다"면서도 "유심히 지켜보고 있다. 당연히 관심을 갖고 있는 상황이다"며 깊은 관심을 표명했다.

천 대변인은 "그러나 검찰이 이 일에 대해 잘 알아서 해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더 이상 입장(표명)은 어렵다"고 말했다.

이는 김용철 변호사(전 삼성그룹 구조조정본부 법무팀장)가 삼성이 비자금을 조성해 검찰과 국세청은 물론 재경부 등 정부 요로에 로비를 했다는 의혹을 제기하는 가운데 나온 청와대 반응이어서 주목된다.

천 대변인은 김용철 변호사가 삼성으로부터 떡값을 받은 검사가 40명이 넘는다는데 폭로 내용에 대해서 "그 내용을 보고, 또 검찰이 어떻게 하는지 보고 (판단하겠다"며 "청와대 수준에서 지금 말하는게 적절치 않다"고 덧붙였다.

이어 검찰이 관련됐다면 특별검사 제도를 도입해야 하는 것 아니냐는 지적에 대해 천 대변인은 "너무 많이 나갔다"며 언급을 피했다.

이날 김용철 변호사는 기자회견을 열고 "청와대, 검찰, 국정원, 언론 모두 삼성을 위해 움직인다"면서 "(이들의 활동이) 실시간으로 (그룹으로) 정보보고됐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천 대변인은 "청와대가 당연히 삼성에 대해 부당한 개입이 있을리 없다"고 연관설을 차단했다.

청와대의 이같은 입장은 김용철 변호사의 주장이 일방적인 주장이라는 인식아래, 검찰 등이 이 사건을 조사하는게 먼저라는 원칙론을 밝힌 것으로 볼 수 있으나 사건이 확대될 경우 추가적인 입장 표명이 예상된다.

청와대 관계자는 "우리가 수사권을 갖고 있지 않는 상황에서 쉽사리 나설수는 없는 것 아니냐"며 "일단 검찰의 입장을 지켜봐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저작권자ⓒ이데일리 - 1등 경제정보 멀티미디어 http://www.edaily.co.kr>

- 당사의 기사를 사전 동의 없이 링크, 전재하거나 배포하실 수 없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