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주교정의구현사제단이 오는 5일 삼성그룹의 비자금 의혹과 관련한 ‘2차 기자회견’을 갖고 삼성의 비자금 조성경위 등을 추가로 공개하겠다고 예고하자, 삼성과 검찰이 바짝 긴장하고 있다.

사제단의 김인국 신부는 1일 “5일 회견에서 삼성그룹의 비자금 조성경위에 대한 구체적 실례를 들어 공개할 것”이라며 “애초 ‘대외 로비 지침’을 담은 내부 문건을 공개하기로 했으나 사제들이 이를 공개하는 것은 품위에 맞지 않는다는 지적에 따라 이 부분은 기자회견에서는 제외된다”고 말했다. 사제단 관계자는 “대신 5일 이전에 내부 문건을 다른 시민단체를 통해 공개할 가능성이 높다”고 전했다. 내부 문건은 삼성그룹 고위급 회의에서 대외 로비 때 고려해야 할 사항들을 정리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대해 삼성그룹 관계자는 “도대체 무슨 얘기인지 모르겠다. 그런 내부 문서는 삼성에는 존재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검찰은 2차 폭로 내용의 구체성 여부에 따라 수사에 나설 방침이다. 내부적으로는 수사 주체와 수사 방법 등에 대한 검토 작업에 착수했다. 정상명 검찰총장도 전날(10월31일) 대검찰청 국정감사에서 “자료의 신빙성 등을 검토한 뒤 필요하면 조치를 취하겠다”고 답변했다.

특히 검찰은 정의구현사제단에 관련 자료를 제공하고 있는 김용철(金勇澈·49) 변호사가 이미 40여명의 ‘삼성 떡값 검사’ 명단을 작성해 사제단에 넘겼다는 소식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특수부 검사 출신인 김 변호사는 1997년부터 2004년까지 7년간 삼성그룹 법무팀·재무팀 이사와 법무팀장을 지냈다.

김 변호사는 1일 일부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삼성 근무 때 검찰 간부들에게 직접 돈을 전달하거나 가까운 임원들을 시켜 떡값이나 휴가비 등 명목의 금품을 정기적으로 제공했다”면서 “명단을 이미 정의구현사제단에 넘겼다”고 말했다. 김 변호사는 “한번에 500만원이 대부분이고, 검사장급 등 핵심 간부에게는 1000만원을 건네기도 했다”면서 “검사 40여명을 관리하는 데 매년 10억원씩 썼다”고 했다.

이에 대해 삼성그룹과 검찰은 “(김 변호사가) 냄새만 피우지 말고 낱낱이 명단을 공개하면 될 것 아니냐”고 불쾌감을 표시했다. 특히 검찰은 “떡값 검사를 공개하면 당연히 수사를 해서 형사 처벌하거나 징계해야 하지 않겠느냐”는 입장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