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01년 일본군 소좌(少佐) 우쓰노미야 다로(宇都宮太郞)가 주영(駐英) 일본대사관 무관(武官)으로 부임했다. 그는 육군 유년생도로 군대와 인연을 맺은 뒤 육사를 나와 육군대학을 거친 일본군 엘리트 코스를 밟았다. 보병으로 출발해 정보장교로 변신, 참모본부에서 일했다. 우쓰노미야는 당시 세계의 중심인 런던에서 5년 근무하며 라이벌 러시아를 약화시키기 위해 러시아 혁명가들을 지원하는 공작을 벌였다.
▶러일전쟁에서 일본의 승리가 확실해진 1905년 봄 도쿄로 돌아올 때 우쓰노미야의 계급은 대좌(大佐)였다. 빠른 승진은 런던에서의 활약을 말해준다. 참모본부로 돌아와 해외정보 담당 부장이 된 그는 이번엔 중국을 와해시키려는 공작에 몰두, 모략(謀略) 전술의 달인(達人)이라는 평가를 받았다. 자신의 중국 정책을 담은 ‘대(對)지나(支那) 사견(私見)’을 주위에 돌리는가 하면 재벌 미쓰비시에서 10만 엔을 받아 손문 등 중국 혁명파에 건넸다.
▶소장·중장으로 승승장구한 우쓰노미야는 일선 사단장을 거친 뒤 1918년 조선군사령관이 됐다. 야전군 출신의 당시 조선총독 하세가와 요시미치(長谷川好道)가 무단(武斷)통치를 폈던 데 비해 모략 전술에 일가를 이뤘던 우쓰노미야는 조선인 회유 전술을 폈다. 그는 민족운동가와 종교인 등 조선 지도층과 자주 어울리며 정보를 얻고 친목을 다졌다.
▶우쓰노미야가 왕성하게 활동하던 15년 동안의 일기와 편지·서류가 85년 만에 공개됐다. 그가 보고 듣고 생각한 것을 그대로 적은 일기는 20세기 초 동아시아 역사를 읽을 수 있는 흥미로운 자료다. 제암리 학살사건 은폐 과정, 상해임시정부 분열 공작 등 일제의 내밀한 움직임도 드러낸다.
▶그의 아들이 1970~80년대 평화·군축 운동으로 유명했던 우쓰노미야 도쿠마(宇都宮德馬) 의원이다. 기업인 출신 정치인으로 중국과 북한에 우호적이었던 그는 “조선 민중에게 고통을 줬던 아버지를 보상하려는 잠재의식이 내게 있는 것 같다”고 했다. 우쓰노미야 부자는 서로 다른 길을 걸은 것처럼 보이지만 한반도 경영 전략에 관심을 가졌던 점에서는 부전자전(父傳子傳)이다. 우쓰노미야 부자의 얼굴을 통해 아시아와 일본이라는 나라의 역사적 명암을 함께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