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강산에서 離散이산가족 행사를 취재하던 남측 공동취재단 21명 전원이 23일 북한의 취재방해에 항의해 철수했다. 북은 SBS와 MBC 등 남측 취재단의 방송사들이 '납북', '나포'라는 표현을 사용했다는 이유로 위성송출을 저지했다. 북측 요원들은 중계차에 밀고 올라가 기사 사전검열을 시도하는가 하면 방송용 테이프를 빼앗아갔다가 돌려주기도 했다. 해당기자들에게 북한을 떠날 것을 요구하다 응하지 않자 10시간 동안 고령 이산가족들의 남쪽 귀환을 막았다. 그래 놓고도 북은 기자들이 철수하자 도리어 "다시는 금강산 相逢상봉 때 들어올 생각을 하지 말라"거니 "상봉사업에 장애를 조성한 주모자들을 처벌하라"거니 협박을 하고 나왔다.

이런 북한의 떼쓰기가 계속되고 있는 것은 그것이 우리 정부한테 번번이 통했기 때문이다. 북한이 체제 優劣우열을 언급했다고 장충식 적십자사 총재를 물고 늘어지고 합리적 협상 慣例관례를 강조했다 해서 홍순영 통일부장관을 기피인물로 찍자 정부는 결국 북한의 억지를 그대로 받아들여 이들을 경질했다. 현대가 대북 교섭창구인 김윤규씨를 교체하자 금강산 관광객을 절반씩 줄이는 식으로 민간기업 인사에까지 간여하려고도 했다.

기자단 철수 직후 북한 중앙통신은 "남측 기자단의 도발에 대해 남측 단장이 서면으로 잘못을 인정하고 유감을 표시해 2진 상봉은 계속한다"는 성명을 냈다. 이에 대해 통일부는 '잘못'이나 '사과'라는 표현을 쓴 일이 없다고 하면서도 서신 내용을 공개하지 않았다. 관례상 남북이 주고받은 문서를 공개하는 경우는 없다는 것이 이유다. 그동안 합의서니 뭐니 해서 수많은 문서들이 공개됐는데 어디까지를 비공개 대상으로 삼는다는 것인지 알 수 없다. 설령 공개하지 말아야 할 정당한 근거가 있다손 치더라도 취재기자단 전원철수라는 중대한 남북관계의 돌발사태가 벌어졌으면 이를 국민을 대신하는 국회 관련 상임위에 즉각 보고하고, 국회는 저간의 상황과 남북간에 주고받은 문서의 내용을 확인하는 절차가 있어야 한다. 정부는 끊임없는 저자세 대북노선이 명백히 한계에 도달했음을 깨달아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