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진표 교육부총리가 '自立型자립형사립고 늘려서는 안 되는 이유'라는 글에서 대표적 자립형사립고인 민족사관고 문제를 집중 거론하면서 "自私高자사고 확대는 공교육을 파괴하고 사교육비를 조장하는 폐해가 있으니 신중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 부총리는 이 글에서 교육개발원의 통계를 인용해 자사고 학생들이 일반고보다 사교육비가 더 많이 든다는 점을 강조하면서 民族史觀高민족사관고의 경우 월평균 사교육비가 104만원이나 든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民史高민사고 학생 중 사교육을 받는 비율은 11.6%에 지나지 않는다. 民史高민사고 학생의 90% 가까이는 사교육을 받지 않고 있는 것이다. 일반고 학생의 사교육 비율은 56.4%다. 따라서 民史高민사고 학생의 실제 1인 평균 사교육비를 따져보면 전국 일반고 평균(16만8000원)보다 적은 12만원이 된다. 김 부총리가 引用인용한 보고서 내용의 바로 다음 쪽엔 '자사고의 사교육비 감소효과'를 민사고 학생들에게 물었더니 '매우 그렇다' 30.4%, '그렇다' 32.4%, '보통' 21.8%, '그렇지 않다' 10.0%, '전혀 그렇지 않다'가 4.8%였다는 설문결과가 나온다.

민사고에선 방과 후에 179개 강좌의 연구과목을 개설해 水準別수준별로 원하는 과목을 들을 수 있게 했다. 저녁에 따로 학원에 다닐 이유가 없는 것이다. 재단이 한 해 28억원을 학교 운영에 집어넣고 있기 때문에 이런 교육이 가능한 것이다.

이 정권과 여당의 실세 중에 중·고등학교 때부터 자녀를 해외유학시킨 사람들이 적지 않다. 유학생들 사이에서 저 아이 아버지는 무슨 장관이고 저 아이 아버지는 무슨 의원이라는 소문이 날 정도라고 한다. 早期조기 유학이 나쁘다는 것이 아니다. 자기 아이들에게 해외유학의 길을 열어준 이 정권 사람들이 살림이 그리 넉넉지 않은 국민들이 해외유학을 보내는 것보다 훨씬 적은 돈으로 자녀에게 더 좋은 교육을 시킬 수 있는 自私高 자사고확대를 平等평등의 구호로 막고 있다는 것이다. 僞善위선도 이런 위선이 없다. 그런데 교육부총리란 사람이 국민의 꿈보다는 이런 僞善的위선적 정권 이데올로기의 앞장만 서고 있으니 사회에 거짓이 횡행하고 나라의 장래가 어두운 것이다.